DAILY NEWS_ 2018.3.27 (화)
본문
DAILY NEWS_ 2018.3.27 (화)
1. IPA, 북인천복합단지 82만5천㎡ 매매계약 체결.
(로이슈 2018.03.26.)
2. 28일 부산서 '자동화 항만' 구축 토론회
항만자동화가 부산항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가운데(본보 3월6일자 1·3면 보도) 해양수산부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과 공동으로 오는 28일 오후 2시 부산 영도구 동삼동에 소재한 KMI 대강당에서 '자동화 항만 구축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토론회에는 해수부와 KMI, 부산항만공사, 선사 및 운영사, 항운노조 등 1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정책토론회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과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여 자동화 항만 관련 국내외 동향을 공유하고, 국내 도입 필요성 및 일자리 영향 최소화 방안 등을 함께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해수부·해양수산개발원 개최
실직자 없는 자동화 대책 등 논의
최근 로보틱스,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초대형 선박이 늘어남에 따라 보다 혁신적인 하역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으며,세계 주요 항만들은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완전무인자동화 항만을 속속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항만의 경우 부산항 신항과 최근 개장한 인천신항의 컨테이너 터미널조차도 컨테이너를 쌓아두었다가 반출하는 터미널 배후의 야드 쪽만 자동화가 되어 있는 '반자동 항만'에 머물러 있어 항만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자동화 항만의 국내 도입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이번 토론회에는 그동안 항만 자동화 도입의 부작용으로 지적돼온 일자리 감소에 대한 우려와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항만공사, 운영사, 지자체, 항운노조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듣는 자리가 마련된다. 토론회를 계기로 해수부는 기존 일자리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많은 사람이 공감하는 가운데 국내 자동화 항만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항운노조 등 이해관계자와 적극 협력해나갈 계획이다.
임현철 해수부 항만국장은 "앞으로도 정부는 노사정 상설 협의체를 구성, 운영하는 등 실직자 없는 항만 자동화를 이루기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일보 2018.03.26.)
3. 中 칭다오항 지난해 순익 전년比 39%↑
금융·국제화·인터넷 3대 전략 추진
중국 칭다오항의 지난해 순이익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칭다오항이 26일 발표한 2017년도 실적보고에 의하면 영업이익은 101억4000만위안(약 1조74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6.8% 증가했다. 대외교역수입(칭다오재무공사 이자수입 포함)은 105억4000만위안(1조81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7.3% 성장했다. 순이익은 30억4000만위안(약 52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9.2% 증가, 매주당 기본수익은 0.55위안이었다.
최근 칭다오항은 항만 서비스의 공급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주력 사업인 하역업을 지속적으로 강화시켜 현대종합물류를 발전시키고, ‘금융·국제화·인터넷’ 3대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칭다오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평균작업효율은 시간당 30 컨테이너로 전통적 터미널 생산성을 넘어서며 세계 최고수준의 평균작업효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일대일로 정책에 부응해 관리수출, 자본수출 등 해외진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코리아쉬핑가제트 2018.03.26.)
4. 글로벌 해운업계 선박 발주 재개…한국은 지원 정책 발표 지연
오는 2020년 강화된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 시행을 앞두고 글로벌 해운업계가 다시 선박 발주에 나섰다. 그러나 환경규제 강화를 기회로 삼아 경쟁력을 복원하려던 국내 해운업계는 정부 정책 발표 지연에 선대 확장을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
26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세계 3위(선복량 기준) 해운사인 프랑스 CMA-CGM은 한국 조선소와 오는 2020년까지 1만4000TEU(1TEU는 6m짜리 컨테이너 1개)급 컨테이너선을 최대 12척(6척+옵션 6척) 발주하는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글로벌 해운업계의 선박발주 움직임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됐다.
앞서 CMA-CGM은 지난해 8월 2만2000TEU급 액화천연가스(LNG) 추진 컨테이너선을 중국 조선소에 발주한 바 있다. 한달 뒤인 지난해 9월에는 세계 2위 해운사인 스위스MSC가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에 2만2000TEU급 메가 컨테이너선 11척을 발주했다.
해운업계의 선박 발주는 오는 2020년부터 선박 배출가스의 황산화물(SOx) 함량을 기존 3.5%에서 0.5%로 줄이도록 하는 IMO의 환경규제 강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환경규제를 맞추기 위해 선사들은 ▲친환경 연료인 LNG 추진선 발주 ▲기존 벙커C유를 사용하면서 황산화물 배출을 줄이는 스크러버 장착 ▲벙커C유보다 가격이 비싼 저유황유 사용 등의 방안 중 선택을 해야 한다.
당초 우리 해운업계는 IMO의 환경규제가 한진해운 파산 사태로 벌어진 글로벌 해운업계와의 격차를 줄일 기회로 여겼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현대상선이 선대를 다시 구축하는 데 유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특히 오는 7월 설립될 한국해양진흥공사가 해운업 재건의 핵심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해양진흥공사는 선사의 선박 금융 등을 지원해주는 해운산업 전담 지원 기관이다.
그러나 지난달 말로 예정됐던 정부의 해운산업 재건 5개년 계획 발표는 이달 말로 미뤄졌다. 선박 금융 구조와 관련해 부처 사이에 이견이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현대상선도 아직 선박 발주 계획을 확정하지 못했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정부의 계획에 맞춰 선박 발주 규모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상선은 상반기 안에 컨테이너선을 발주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문제는 글로벌 선사들이 선박 발주를 개재하고 있는 상황에서 현대상선의 선박 발주가 늦어지면서 환경규제 강화 시점까지 선박을 받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는 점이다. 보통 선박이 발주된 뒤 선주 측이 인도받기까지 약 2년의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오히려 지금이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선박 발주의 적기일 수 있다"며 "조선업황이 호황이 아니기 때문에 선박 건조 기간도 2년보다 짧을 것"이라고 말했다.
(매일경제 & mk.co.kr 2018.03.26.)
5. 정부, 100만TEU 선사 육성…자국 화물 실릴까
원양선사 자국화물 적취율 13% 수준…2년 전 반토막
"거래 안정성 담보 필요...선사·화주 연결고리 있어야"
정부의 해운업 재건 계획안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해운업계는 자국화물 적취율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선사의 규모 확대가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선박에 실리는 화물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26일 한국선주협회 및 해운업계에 따르면 국내 원양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의 자국선사 적취율은 13% 수준이다. 근해항로를 포함해도 38%에 그치고 있다.
나머지는 외국선사를 이용한다는 얘기다. 2015년 31.5%(현대상선 12.4%, 한진해운 19.0%)였던 것과 비교하면 대폭 줄어든 수치다.
한진해운이 파산하면서 국내 화주들 마저도 등을 돌렸다. 화주들은 선복 및 네트워크 부족 등의 이유로 국적선사 이용을 꺼리고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운임이다.
글로벌 선사들은 규모의 큰 만큼 원가 경쟁력이 높다. 우리나라 국적선사들이 받는 운임 보다 낮게 받아도 이익을 낼 수 있는 구조다.
선사는 선박이 많아도 화물을 실지 못하면 수익을 낼 수 없어 국내화주들의 적취율 제고는 해운업 강화에 필수적이다.
정부가 이달 안으로 발표할 뉴스타트 한국해운 재건 5개년 계획에 '원양 컨테이너 선사 100만TEU 달성'을 중점 추진 목표로 삼은 것도 이 때문이다.
선복을 늘리지 않으면 100만TEU가 넘는 글로벌 선사들과 경쟁할 수 없다고 해운업계는 입을 모은다.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 되면 현대상선의 선복량 확대는 무리 없이 추진될 수 있다. 문제는 선복량이 늘어난 만큼 화물을 실을 수 있느냐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국내 대형화주들이 국적선사 이용을 하지 않는 것은 결국 운임이다. 글로벌 선사들과 비교했을 때 운임 경쟁력이 크지 않다"며 "선사들의 노선 확대를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낮은 자국 화물 적취율은 결국 국적선사들 간의 운임 출혈경쟁으로 이어진다. 특히 근해선사들의 영업이익률은 수급불균형이 확대되면서 2014년 4.4%에서 2016년 1.9%로 떨어졌다.
운임 경쟁이 심해지자 지난해 8월 14개 국적 컨테이너 선사 간의 협력체 한국해운연합(KSP)가 출범해 근해항로에서 공급과잉을 해결하겠다고 나섰지만 협력 강도는 약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도 근해선사들에 대해 선사들 간 출혈경쟁을 막고 항로 다변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윤현수 해양수산부 해운정책과장은 "출혈적 경쟁을 막고 선사 간 M&A도 고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해운업계는 국적선사에 우리나라 화물을 선적할 수 있도록 국내 화주들에게 유인책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SM상선의 경우 지난해 국내화물 수송량이 8만1000TEU로 2016년 국내화물 총량의 0.5%에 불과하다. SM상선은 국내화물 적취율 5% 높이면 자사의 연간 수송량은 9배가 늘어난다고 설명한다. 해수부는 컨테이너 자국화물 적취율을 50%(원양 25%)로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이다.
한종길 성결대 교수는 "선사와 화주 협력은 화주에게 도움이 되는 무언가가 있어야 한다"며 "현재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아 국적선사를 이용하라고 말할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화주에게 운인변동에 따른 거래 안정성을 담보해 줘야한다"며 "또 선사의 지분 일부를 화주한테 넘겨 수익을 같이 공유하는 연결고리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EBN 2018.03.26.)
6. 삼성중공업, 10억4천만弗 규모 드릴선 건조계약 해지
美 법원, 삼성중공업-시드릴 선박건조계약 해지 승인
삼성중공업은 글로벌 해양시추업체 시드릴社와 맺은 드릴선 2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해지한다고 26일 공시했다.
이 드릴선은 2013년 7월 시드릴로부터 삼성중공업이 10억4천만달러(각 5억2천만달러)에 수주했다. 그러나 시드릴의 재무상황 악화 등으로 인도가 지연돼 왔으며, 최근 미국 법원은 회생계획안 심사 중 우선적으로 삼성중공업과 시드릴간의 선박건조계약의 해지를 승인했다.
삼성중공업은 선박 건조계약 해지에 따라 드릴선 두 척의 선수금 3억1천만달러(계약금의 30%)를 몰취하고 잔금(70%) 확보를 위해 선박을 매각할 수 있게 됐다.
삼성중공업은 2018년 5월28일까지 우선 매각 협상권을 시드릴 측에 부여해 매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한 내 매각이 불발될 경우 제 3자 매각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시드릴이 미국 법원에 제출한 회생계획안이 최종 승인되면, 삼성중공업은 채권자의 일원으로 확정된 회생채권 4억6400만달러에 대해 채무조정 완료 후 신설될 ‘뉴 시드릴’의 신주인수권을 부여받게 된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국제유가가 강세를 유지하고 있어 해양설비 운영업체들이 성능과 효율이 뛰어난 최신형 드릴선에 관심이 많아 향후 매각이 잘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하며, "특히 이번 계약해지 건은 선수금 몰취, 선박소유권 확보에 따른 시장 매각, 뉴 시드릴社의 신주 매각 등의 조건이 좋아 재무적 손실 위험을 크게 낮춘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삼성중공업은 1월 말 스테나 세미리그(반잠수식 시추선)의 매각에 성공했으며, 2월에는 공정 착수 전인 오션리그 드릴선 1척 계약을 취소함으로써 남은 드릴선은 중재 중인 PDC 1척과 오션리그 2척 등 3척으로 시추설비 미인도 리스크를 지속적으로 낮춰가고 있다.
(코리아쉬핑가제트 2018.03.26.)
7. 美-中 무역전쟁, 해운에 미치는 영향은
초기 컨선해운 제한적 영향, 장기적 벌커도 사정권
무역의 글로벌화 시대에 무역전쟁에 대해 논하는 것이 일부에게는 이상하게 보일 수도 있지만, 논의를 해야 하는 시점이다.
해운 부문의 경우 글로벌 무역 성장에 기여도 하고 물론 혜택도 보았지만, 주요 산업중 하나인 해운부문에서, 무역 분쟁 고조화의 여파는 여러 해운 분야에 타격을 줄 수 있다.
최근의 주간 보고서에서 쉽브로커인 Allied Shipbroking은 "지난주는 글로벌 경제에 있어서는 냉기가 도는 한 주의 시작이었다. 증시 대부분이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테크 섹터의 매도세가 이를 주도했다"고 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이것이 해운 산업의 상당 부분과 분리된 업계를 제한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증시 하락의 형태로 확인되는 여파가 글로벌 무역의 전체 마찰과 어느 정도 연관이 있다"고 밝혔다.
Allied의 가치 평가부문 수석인 George Lazaridis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수입관세를 발표한지 불과 2주 밖에 되지 않았다"고 했으며, "지정학적 충격이 여전히 체감되고 있다"고 말했다.
계속해서, Lazaridis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이후에 면제에 포함되지 않은 호주, EU, 일본 등 여러 국가들이 면제를 받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상황은 암울해지고 있다"고 했으며, "이들 중 일부 국가들의 경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보복 관세 조치를 약속하고 있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Lazaridis는 "전반적인 판세로 볼 때, 해운 부문에 종사하는 이들이 보는 주요 관점은 현재 관세가 해운 시장에 제한적이지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고 했으며, "철강과 알루미늄 두 원자재 모두에 있어서 주요 생산국인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관련해서 그의 포퓰리즘적 수사로 중국을 겨냥하기는 했지만, 미국에 들어가는 수입 물량 중 차지하는 비중이 적다"고 말했다.
계속해서, Lazaridis는 "중국의 대미 철강 및 알루미늄 수출은 전체 GDP 중 0.03%에 불과하며, 중국은 미국으로의 철강 수입 전체 중 4% 만을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가장 큰 위협은 미국 시장의 메인 공급국들로서, EU, 캐나다, 한국, 멕시코, 브라질 및 일본 등이다"고 말했고, "캐나다와 멕시코는 현재 나프타 협약 관련 협상이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 상태이다"고 말했다.
Lazaridis는 "나머지 중 상당수 국가들은 진지하게 보복 관세 조치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분간 중국이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다른 국가들과 적극적으로 자유무역을 옹호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더 큰 무역 전쟁이 확대될 리스크가 존재한다. 그러나 상황이 그 정도로 고조된다 해도, 해운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점진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Lazaridis는 "현재의 시나리오 상, 최종 제품에 대하여 대부분의 보복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이는 먼저 컨테이너 시장에 차질을 가져오면서 초기 국면에는 컨테이너 부문에만 영향이 국한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Lazaridis는 "점진적인 감소세가 원료 수요에 나타나기까지는 어느정도 시간이 걸릴 것이다. 이는 최종재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전반적으로 감소할 경우 구매관리자들이 수요를 줄일 것이기 때문이다"고 했으며, "이는 실제로 심각한 시나리오처럼 보이며, 대부분이 이러한 이벤트들로 나타날 영향에 대해 불안해 하고 있으며, 이는 이제서야 나타나는 글로벌 무역의 우호적인 환경을 보나 싶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Lazaridis는 "한 동안 대체로 갖는 생각과 희망은 트럼프 미 대통령이 2000년대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철강 관세에 대한 보호무역조치를 철회하는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물러서는 것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BIMCO는 “최근 자유 무역은 번영과 평화를 제공하며, 아끼고 지키는 것이 기본 원칙이다. 기본적으로 모든 무역 제한 조치들은 해운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하면서 보호무역주의를 경계한 바 있다.
(쉬핑데일리 2018.03.26.)
8. Zim, 2017년 5천만달러 흑자 달성
이스라엘의 국적 선사인 Zim은 2016년도에 기록한 1억 5,000만달러에 달하는 적자에서 2017년에는 5,000만달러의 흑자로 전환했으며, 매출은 17% 증가한 29억 7,0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Zim은 2016년도 4분기에 기록한 4,400만달러의 이익 대비, 2017년도 4분기에는 5,300만달러의 조정된 세전 이익(EBITDA)을 기록했으며, 7%의 조정된 이익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017년 4분기에 기록한 컨테이너 처리량은 2016년 동기의 61만 3,000TEU 대비 12% 증가한 68만 5,000TEU를 기록했다고 회사는 별도의 성명서를 통해서 밝혔다.
Zim의 사장겸 CEO인 Eli Glickman은 “회사의 실적이 정기선 업계에서 최상위에 위치하고 있다는 사실이 자랑스럽다”고 밝혔으며, "우리는 모든 측면에서 극심한 변화와 혁신의 과정을 겪고 있다. 우리는 변화하고 있는 시장의 요구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충족시킬수 있도록 다양하고 혁신적인 디지털 솔루션의 도입을 선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Glickman은 "우리는 고객 서비스를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계속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분석해 볼 때 과잉 선복량과 벙커 비용의 상승은 업계 전체에 계속 부담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정기선 업계는 글로벌 얼라이언스의 재편을 초래한 광범위한 인수 합병의 결과로 구조적인 변화를 겪었다고 별도의 성명서를 통해서 밝혔다.
Zim의 관계자는 “2016년도 3분기 이후에, 운임의 개선과 함께 업계의 긍정적인 추세가 목격되었다"고 했으며, "하지만, 시장에 과잉 선복량이 여전히 존재하고, 2017년 연말에 운임이 부분적으로 하락했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장 상황은 여전히 변동적이다”고 밝혔다.
이런 역동적이고 어려운 사업 환경에도 불구하고, Zim은 혁신적이고 포괄적인 변화를 통해서 업계를 능가하는 개선된 성과를 지속적으로 거두었다고 밝혔다.
(쉬핑데일리 2018.03.26.)
9. Super Post-Panamax Cranes at Philadelphia
PhilaPort received its two new super post-Panamax cranes at the Packer Avenue Marine Terminal on March 24, 2018, after a 90-day delivery from Shanghai, China.
The cranes, ordered by the port in December 2017, were manufactured by Shanghai Zhenhua Heavy Industries (ZPMC) and cost $12 million each.
The purchases are part of Governor Tom Wolf’s $300 million Port Development Plan, announced in November 2016, to increase cargo-handling capacity and efficiency.
The size of vessels visiting the port has increased exponentially in the last decade, creating a new class of container ships known as ULCVs (Ultra Large Container Vessel) with up to 20,000 container capacity.
Once such ship was the M/V MSC Shuba B, which visited Philaport in the winter of 2017, featuring a 12,200 TEU capacity.
Read the "Tie-Down Design Considerations: STS Container Cranes" for information on the structural integrity of STS cranes and tie-down systems
Executive Director and CEO of PhilaPort, Jeff Theobald said: “For over a year we have been working hard to prepare the terminal for these cranes and it is great to see them here.
Last year we hit an East Coast record of 19% container growth. To sustain that type of growth, these new cranes are a necessity.”
Governor Tom Wolf said “The arrival of the cranes is a perfect example of public/private investment into the State’s critical infrastructure.
Every transportation professional knows how important speed to market is to logistics.
These new cranes will ensure that we keep pace with other U.S. seaports and allow PhilaPort to load and discharge cargo with state-of-the-art equipment.”
Two more identical cranes will be added by Philaport in the first quarter of 2019, plus an additional crane at Packer Avenue Marine Terminal – bringing the total number of cranes at the terminal to 7.
(Port technology 2018.03.26.)
10. HHLA Acquires Estonia’s Biggest Terminal Operator
Hamburger Hafen und Logistik AG (HHLA) acquires one of Estonia’s biggest terminal operators, Transiidikeskuse AS, with a contract signing on March 26, 2018.
The acquisition will make HHLA the market leader in container handling at the Port of Muuga, located close to the Estonian capital Tallinn.
The Port of Muuga is the main port in Estonia, and an important maritime location in the Baltic region.
The new acquisition will also act as a multipurpose terminal for bulk and Roll on/Roll off handling.
Read the "LNG as an energy source for economies around the Baltic Sea" for further discussion on the region's economies
The container terminal has a current utilisation of its capacity of approximately 300 thousand TEU, which has the potential to increase to around 800 thousands TEU.
Chairwoman of HHLA’s Executive Board, Angela Titzrath said: “Estonia is one of the fastest-growing economies in Europe and a pioneer when it comes to digitisation.
We are therefore pleased to be integrating Transiidikeskuse AS – already a profitable and high-performing company – into the HHLA family.
One of HHLA’s targets is to grow internationally. The successful conclusion of this contract shows that we are doing just that.
The acquisition enables us to enter a promising regional market that offers growth potential as a result of its geographic position and its link to the ‘New Silk Road’."
(Port technology 2018.03.26.)
첨부파일
- DAILY NEWS-20180327.docx (124.3K) 28회 다운로드 | DATE : 2018-03-28 21:2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