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NEWS_ 2018.1.18 (목)
본문
DAILY NEWS_ 2018.1.18 (목)
1. IPA, ‘인천항 종합발전계획2030’에 속도...항만배후단지 건설 박차
(아시아투데이 2018.01.18.)
2.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경제 성장률 둔화로 올해 컨 325만TEU 예상"(인천항)
물동량 증가율 작년 절반인 6.6% 전망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올해 인천항에서 325만개의 컨테이너가 처리될 것으로 전망했다.
KMI는 2018년 국내 컨테이너 물동량은 지난해(2740만TEU)와 견줘 3.2%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17일 밝혔다.
KMI 관계자는 "올해 컨테이너 물동량은 경제 성장률과 상품 수출입액 성장세 및 환적 화물 증가세 둔화 등에 따라 증가 폭이 제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천항 물동량은 올해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전년(305만TEU) 대비 6.6% 증가한 325만TEU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인천항은 약 14%의 물동량 증가율을 보였다. 지난해 2000만TEU를 돌파한 부산항은 전년과 비교해 2.9% 늘어난 2106만TEU를, 광양항은 환적 회복세에 따라3.6% 증가한 230만TEU를 처리할 것으로 내다봤다.
KMI는 올 품목별 비컨테이너 물동량은 잡화, 석탄, 자동차 등 10개 품목은 증가하지만 유류와 화공품, 양곡 등 3개 품목은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인천일보 2018.01.18.)
3. 부산항 물동량 4천만개 시대 대비 신규 부두 조성 입지는 어디?
해수부,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에 용역 결과 보고
“19개 선석 더 필요”…신규 부두 공급안 3가지 놓고 고심
부산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2050년에는 현재의 2배 규모인 4000만개로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정부의 부산항 메가포트 육성 전략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에 향후 물동량 증가를 뒷받침할 신규 부두 확충 방안에도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17일 부산항만공사에서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과 해양분야 정책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는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의 요청에 의해 이뤄졌다.
이날 해수부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 의뢰한 ‘부산항 메가포트 육성 전략’ 용역 결과를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에 보고했다.
해수부는 이자리에서 부산항 물동량이 20피트짜리 기준으로 2030년에 3000만개, 2040년에 3500만개를 넘어서고 2050년에는 4000만개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증가되는 물동량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현재 건설 중인 남컨테이너부두 2-4단계 민자부두(3개 선석)와 서컨테이너부두 2-5단계(3개 선석) 외에 부산신항의 선석이 2050년까지 19개 더 필요하다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또 2030년 이후 북항의 컨테이너 처리 기능이 신항으로 일원화한다면 5.3개의 선석을 더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해수부는 현재 추가 선석 확보 방안을 두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 용역 결과에서 제안한 3가지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
1안은 2016년 수립된 ‘제3차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에 반영된 신항 3단계 조성 계획을 확장하는 방안이다. 기존 신항 3단계 계획은 컨테이너 부두 6선석과 일반부두 2선석을 조성하는 것인데 이에 더해 추가로 필요한 선석을 확충하는 방안이다.
2안은 4단계 신규 입지를 조성하는 방안이다. 현재 부산항 신항이 조성돼있는 가덕도 기준 북쪽 이외에 서쪽 혹은 동쪽에 새로운 항만을 대규모로 조성한다는 것.
마지막 3안은 1안과 2안을 절충해 기존 신항 3단계 조성 계획을 확장하고 부족한 선석은 가덕도 서쪽 혹은 동쪽에 신규 부두를 새로 지어 보완하는 방안이다.
해수부는 신규로 조성될 부두는 초대형 선박의 출현에 대비해 터미널 폭을 현재 600m에서 800m로 확대하고 안벽 수심도 20m 이상을 확보하며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통합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해수부는 이러한 신규 부두 공급안을 운영 효율성과 경제성 등을 토대로 지역 전문가와 시민단체 및 여론 등을 수렴해 신항만건설기본계획안을 마련한 뒤 관계 부처 협의 후에 올해 말까지 고시할 예정이다.
현재 부산시는 2안을 내심 기대하고 있다. 기존 3단계 조성계획을 확장하는 방안인 1안과 3안은 신규 부두가 행정구역상 경상남도에 속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부산항 신항의 운영에 대한 부산시의 입김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일간리더스경제 2018.01.17.)
4. 홍콩항, 작년 연간 처리량 2천만TEU대 회복
홍콩항이 지난해 연간 처리량 2,000만TEU대를 회복했다.
Seatrade Maritime News에 따르면 홍콩항은 연간 2,076만TEU를 처리했다는. 이는 2016년의 1,981만TEU에 비해 5% 증가한 수치다.
Kwai Tsing 터미널들은 7% 상승한 1,624만TEU를 처리했고, 다른 터미널들은 2% 하락한 452만TEU를 처리했다.
(쉬핑데일리 2018.01.18.)
5. SM상선, 북미 서안노선 5월부터 단독 운항
밴쿠버·시애틀·상하이·도쿄·부산 기항
컨테이너선 6척 신규 투입해 서비스 나서
현대상선과 공동운항 무산되자 독자노선 개설
옛 한진해운의 미주·아주 영업망을 인수해 2016년 말에 출범한 원양선사 에스엠(SM)상선이 올해 5월 캐나다 등 북미 서안노선(PN) 서비스를 시작하며 원양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에스엠(삼라마이다스)그룹의 에스엠상선은 17일 “오는 5월 초 북미 서안 노선에 새로 진출하는 등 독자적으로 컨테이너선 원양사업을 넓혀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4월 미국 서안노선(미국 서부·PS) 서비스를 시작한 에스엠상선은 오는 5월 캐나다 밴쿠버와 미국 시애틀 등 북미 서안노선에 4천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 파나마급 선박 6척(자체 선박 4대·용선 2대)을 투입해 신규 취항할 예정이다. 이 신규 개설노선은 중국 얀티엔, 닝보, 상하이, 부산, 밴쿠버, 시애틀, 도쿄, 부산, 광양, 얀티엔을 차례로 기항한다. 에스엠상선은 현재 미주·아시아·중동 지역에서 11개 노선을 운항하고 있으며, 운용하는 선박는 컨테이너선 총 21척이다.
해운업계에 따르면, 에스엠상선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같은 국적 원양선사인 현대상선에 북미 새 노선에 대한 공동운항 협력을 제안했지만 현대상선 쪽이 “위험 부담도 있어 지금 시점에서는 공동운항이 어렵다“며 거절했고, 이에 따라 독자적으로 북미 노선 단독 서비스 개설에 나선 것으로 알려진다. 이에 따라 에스엠상선이 운영하는 원양 노선 서비스는 2개로 늘어나게 됐다. 에스엠상선은 미국의 동안 노선(미국 동부)도 시장 상황을 살피며 노선 확대 여부와 시기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한겨레 2018.01.17.)
6. “선박 발주 증가·정부 지원 확대”…조선업 회복 기대감 커졌다
국내 조선사 '빅3' 수주 목표액 상향…中 저가 수주 우려 소폭 감소
국내 조선사 수주 회복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전세계 선박 발주량이 2016년과 비교해 78% 넘게 늘어나는 등 회복세에 놓인 데다, LNG 컨테이너선 등 해외 주요 선사의 상선 발주가 예정돼 있는 덕이다. 특히 조업업 지원 방침을 정한 우리 정부와 달리 중국 정부가 선박금융 지원 축소 방침을 정한 것도 수주 회복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17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조선사 '빅3'는 올해 수주 목표액을 상향 조정했다. 현대중공업은 올해 수주 목표액을 지난해보다76% 늘어난 132억달러로 계획했다. 삼성중공업은 올해 지난해보다 26% 많은 82억달러로 수주목표액을 상향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수주 목표액을 50억달러로 지난해보다 5억달러 높게 잡았다.
남준우 삼성중공업 사장은 전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2016년이 바닥이었지만, 2016년보다 지난해가 나았고 지난해보다 올해 상황이 조금 더 나아질 것이라는 게 모든 시장전망 기관과 국내 조선사 영업 일선의 예상”이라면서 “국내 조선산업이 정말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지만, 이 고비만 넘기면 시황 개선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조선·해운 시장 조사업체 클락슨리서치는 세계 선박 신규 발주 규모가 2016년 377억달러에서 2020년 시행 예정인 선박 환경규제 강화에 따라 올해 809억달러(약 88조원)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해사기구(IMO)가 2020년부터 선박유 확산화물 함유 비율을 0.5% 이하로 낮추도록 규제하기로 하면서 선사가 신규 발주에 나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현대상선은 올해 상반기 선박 환경규제를 충족하는 2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컨테이너선을 12척에서 최대 14척까지 발주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 3위 해운사인 프랑스 CMA CGM은 1만4000TEU급 LNG 컨테이너선을 8척 발주한다는 계획을 정했다. 세계 6위 해운사 대만 에버그린 역시 연내 1만1000TEU급 컨테이너선 8척을 발주 예정이다.
조선업계 한 전문가는 “컨테이너선 발주는 지난해 바닥을 찍고, 올해부터 LNG를 연료로 쓰는 LNG 추진선 등 친환경 및 고부가가치 컨테이너선을 중심으로 조금씩 살아나는 분위기"라며 ”컨테이너선 발주 증가 추세는 친환경, 고부가가치 선박에 대한 기술 경쟁력을 갖춘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조선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중국 조선소 저가공세 우려도 소폭 개선될 전망이다. 앞서 중국 조선소는 중국 정부의 100% 선박금융 지원을 바탕으로 CMA-CGM가 낸 초대형 컨테이너선 9척 발주를 가져갔다. 중국 정부가 중국 조선소에 선박 건조를 맡길 시 해외 선사에 금융지원까지 해준 게 입찰가격 하락으로 이어져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을 제치고 수주하는 있는 계기가 됐다.
다만 올해 입찰은 분위기가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정부가 지난해와 같이 선사에 대한 과도한 금융지원을 진행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수출입은행은 지난해 연말 전체 사업에서 선박금융을 40% 이하로 제한한다고 밝혔다. 중국 교동은행은 장기 선박임대 계약을 체결한 사업에 대해서만 선별 지원 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우리 정부는 오는 7월 한국해양진흥공사를 설립, 해운업을 활성화해 선박 발주를 늘리는 조선업 지원 방침을 정한 상태다. 또 정부는 선박 신조프로그램을 만들어 선사의 선박 발주 지원에 나서고 있다. 현대상선은 선박 신조프로그램을 활용할 경우 2만TEU급 선박 12척을 발주하는 데 필요한 자금 약 2조원 중 10%인 2000억원만 부담하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최진명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수주 개선에 대한 기대가 부풀고 있다”면서 “지난해 수주 소식이 많았고, 문재인 대통령의 조선업 혁신성장 방안 마련 관련 발언도 힘을 실어주고 있다”고 말했다.
(시사저널e 2018.01.17.)
7. 삼성중공업 올해 생존키워드는 '해양플랜트·유상증자'
위클리이사람/ 삼성중공업 남준우 사장
‘일감확보’ 최우선 과제로 꼽아
“채권단 대출금 회수 심해 속도조절 필요”
삼성중공업 남준우 사장이 올해 수주목표를 달성하고 내년에는 반드시 흑자전환을 이뤄내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회사의 강점인 해양플랜트와 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종을 중심으로 수주를 확대하는 한편, 올해 5월 1조5천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성공적으로 추진해 반등을 노리겠다는 전략이다.
남 사장은 16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회사의 향후 전망에 대해 시장관계자들의 의구심이 많을 걸로 알고 있다”면서도 “2019년에는 매출이 7조원 수준으로 회복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남 사장은 2019년 흑자 전환 배경으로 ▲수주 실적 개선에 따른 매출 증가와 그에 따른 고정비 부담 감소 ▲고부가가치 특수선 수주 증가에 따른 수익성 개선 ▲해양플랜트 분야의 독보적인 경쟁력 ▲인력 구조조정을 비롯한 자구노력 지속 등을 강조했다.
특히 그는 "LNG선과 셔틀탱크선 등 적정 이익 확보가 가능한 선종의 수주가 늘면서 수익성도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주량 증대뿐만 아니라 수주의 질도 향상된다는 의미다. 또 내년부터 적용되는 선박 평형수 규제와 이듬해 예정된 황산화물(SOx) 규제도 수익성 개선에 촉매제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고부가가치 선종 공략해 수주목표 달성
“과거 해양공사를 수행하며 비싼 수업료를 낸 만큼 위기관리 능력도 확보했다.”
남 사장은 해양플랜트 시장이 살아나고 있는 가운데 삼성중공업이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수혜가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해양플랜트 발주가 예정된 북해 서아프리카 호주 등지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고 2011년 셸의 프렐류드 FLNG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지난 7년간 7건의 대형 해양공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며 경험과 역량을 축적했다는 설명이다.
그 결과 "오일메이저를 비롯한 시장 참여자들이 삼성중공업을 해양플랜트 분야에서 절대 강자로 인식하고 있다"고 남 사장은 말했다. 리스크 관리 능력이 확대된 만큼 해양플랜트 프로젝트 수행 안정성이 향상되고, 견적 당시 목표한 수익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또 그는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대형조선 3사 중 유일하게 서아프리카 지역에 제작장을 보유하고 있어, 나이지리아 자바자바 FPSO(부유식 원유생산 저장 및 하역설비), 셸의 봉가(Bonga) FPSO 등의 공사 수주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남 사장은 올해 목표한 82억달러 중에 상선과 해양의 수주 비율을 60대40으로 잡았다.
이날 간담회에 배석한 정해규 전무는 “상선 부문에서는 LNG선 셔틀탱크선 2만TEU급 대형 컨테이너선 등을 수주하고, 해양에서는 북해와 호주 등을 중심으로 해양프로젝트를 따내 경쟁사들보다 더 많은 계약을 체결할 것”이라고 전했다.
“1조5천억 규모 유상증자 성공 확신”
삼성전자 등 삼성그룹 계열사들이 참여하는 유상증자도 이날 간담회에서 화두로 떠올랐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2016년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1조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했다. 최대주주인 삼성전자가 1811억원을 출자했다. 남 사장은 “2016년 당시 5억불을 수주할 정도로 상황이 나빴지만 유상증자에 성공했다”며 “내년부터는 조선업 시황이 확실히 좋아질 걸로 본다. 유상증자를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삼성중공업은 2014년 말 추진했다 무산된 삼성엔지니어링을 비롯해 대우조선해양 등과의 합병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선을 그었다. 남 사장은 "LNG에 강점을 가진 대우조선과 해양플랜트를 주력으로 하는 우리가 합병하면 시너지가 날 것이라는 추측이 시장에 돌았는데 합병을 전혀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삼성엔지니어링과의 합병에 대해서도 “경쟁력 확대를 위해 과거에 합병이 시도됐지만 무산된 이후 특별히 진행된 사항이 없다"고 말했다.
남 사장은 회사 내부적으로 가장 시급한 과제로 일감 확보를 꼽았다. 건조 물량 부족으로 고정비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게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남 사장은 “올해 목표를 달성하면 수주잔고가 14조원에 달해 2년치의 물량을 확보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여유을 가지면서 우리의 강점인 LNG선이나 셔틀탱크선을 중심으로 선별 수주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끝으로 그는 회사의 정상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 방안으로 채권단의 압박 강도가 완화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남 사장은 “조선업의 펀더멘탈(기초체력)은 바뀐 게 없는데도 채권단에서 자금 회수를 심하게 진행하고 있다”며 “대출금 회수 속도를 조절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수주를 해놓고도 계약이 취소되는 경우가 많아RG(선수금환급보증) 발급이 제 때 이뤄졌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삼성중공업은 올해부터 대리급 이하 사원들도 동의하에 임금반납을 실시하는 한편, 인력 구조조정도 진행할 예정이다. 다만 구체적인 시기와 인원은 정하지않고 상시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라고 남 사장은 전했다.
(코리아쉬핑가제트 2018.01.17.)
8. PSA, 작년 글로벌 컨 처리량, 9.8% 증가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는 터미널 운영업체인 PSA International의 경우 작년도에 처리한 글로벌 컨테이너 물량은 전년 대비 9.8% 증가한 7,420만TEU를 기록했다고 한다.
작년도에 처리한 컨테이너 물량의 대부분은 전년 대비 10.4% 증가하여 4,089만TEU를 기록한 국제 운송 부문에서 나타났으며, 국적선을 취급하는 싱가포르 터미널들도 전년 대비 9% 정도 증가하여 3,335만TEU를 기록하면서 양호한 성장세를 나타냈다고 한다.
본사가 있는 싱가포르 PSA의 경우 정기선사의 통합과 얼라이언스의 변동으로 혜택을 누릴수 있었던 반면에, 대부분의 정기선 업계는 혼란을 겪었다고 CEO인 Tan Chong Meng이 밝혔다.
PSA는 현재의 혼란이 야기하는 미래시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운영 방식을 재조정하는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쉬핑데일리 2018.01.17.)
9. Hapag-Lloyd Containership Breaks Canadian Speed Limit
A Hapag-Lloyd containership, Mississauga Express (pictured above), has fallen foul of Transport Canada’s speed limit rule, in force to protect whales in the western Gulf of St. Lawrence.
The government authority has issued a penalty of $6,000 to the vessel for alleged non-compliance while a temporary mandatory speed restriction was in effect.
Hapag-Lloyd has 30 days to pay the penalty or to ask the Transportation Appeal Tribunal of Canada to review the facts of the violation or the amount of the penalty.
Transport Canada instructed vessels that were 20 metres or more to temporarily reduce their speed to a maximum of 10 knots from August 11, 2017 to January 11, 2018 due to the increased presence of whales in the western Gulf of St. Lawrence, between the Quebec north shore and just north of Prince Edward Island.
Learn about how Vancouver Fraser Port Authority is asking vessels to slow down for whales in a technical paper by Orla Robinson, Program Manager, Vancouver Fraser Port Authority, ECHO program, Canada
While the shipping industry in general was proactive in respecting the speed limit in the designated area, Transport Canada continues to verify all reported cases of non-compliance while the temporary mandatory slowdown was in effect.
The Government of Canada is working with the maritime industry, science experts, and US partners to monitor the situation and find more permanent solutions.
Transport Canada has stated that it will not hesitate to impose the speed restriction again if the whales migrate back to the area.
Marc Garneau, Canada’s Minister of Transport, said: "Our government is determined to promote the safe coexistence of ship traffic and the marine environment in the Gulf of St. Lawrence. We took forceful action in response to the whale deaths in the area and we will continue to take all appropriate measures to ensure their safety."
(Port technology 2018.01.17.)
10. Drewry Delivers Benefits for Beneficial Cargo Owners
Beneficial Cargo Owners who confidentially compare their contract freight rates with those of other shippers via the Drewry Benchmarking Club now have access to automated online analytics and benchmarking to support their tender management and cost monitoring processes.
After managing the benchmarking group of 60-plus exporters and importers for three years, Drewry has launched an online, automated system with additional functionality including “overall, high variance and detailed spend analysis” and members’ historic rate evaluation vs benchmark and spot rates.
The system provides unique forecasts and indices of contract and spot rates as well as benchmarking of transit time and free time.
Drewry continues to provide a detailed analysis of each individual member’s rate levels, including cost savings advice.
Rahul Sharan from Drewry has written a new technical paper which examines the dry bulk market
Philip Damas, Head of Drewry’s logistics practice, said: “With fuel surcharges on an inflationary path and as BCO contract rates are potentially set for a 6th consecutive quarter of increases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big data analytics and benchmarking help mitigate cost increases and enhances the BCOs’ negotiation knowledge in their ocean freight tenders.”
You can hear more from Drewry at PTI's Container Terminal Automation Conference, where Neil Davidson, Senior Analyst at Drewry, will be speaking
Drewry regards the use of such “proactive data analytics” to identify abnormal cost levels and cost inconsistencies through automated benchmarking an important tactic and best practice in advanced ocean freight procurement.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its automated, online system, Drewry is confident of increasing the number of BCO users of its benchmarking club beyond 100 by the end of this year.
(Port technology 2018.01.17.)
첨부파일
- DAILY NEWS-20180118.docx (157.0K) 6회 다운로드 | DATE : 2018-01-22 09:4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