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NEWS_ 2018.1.26 (금)
본문
DAILY NEWS_ 2018.1.26 (금)
1. 최첨단 장비들 등장, 인천 신항 활성화 '물살'
SNCT, 자동화 야드크레인
6기 추가… HJIT도 8기 발주
물동량 증가속 생산성 ↑ 기대
지난해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의 절반을 처리한 인천 신항에 하역 장비가 추가로 들어오면서 활성화에 속도가 붙고 있다.
인천 신항 부두운영사인 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SNCT)은 최근 최첨단 자동화 하역장비인 무인 자동화 야드크레인 6기를 추가 도입했다고 25일 밝혔다. 야드크레인은 장치장에서 컨테이너를 옮기는 장비다. 지난 18일 3기를 우선 들여와 현재 운영 중이며, 나머지 3기는 오는 27일 추가 반입될 예정이다.
기존 무인 자동화 야드크레인 22기에 6기가 추가되면서 이 터미널에서 처리하는 컨테이너 물동량은 많이 늘어날 전망이다.
인천 신항의 또 다른 부두운영사인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HJIT)은 무인 자동화 야드크레인 8기를 발주했다. 기존 무인 자동화 야드크레인 14기에 더해 총 22기를 확보하게 된다.
2015년 6월 운영을 시작한 인천 신항의 물동량은 증가하고 있다. 2015년에는 30만 463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 2016년은 82만 2천309TEU를 기록했고,지난해 12월 사상 처음으로 월간 컨테이너 처리량 15만TEU를 돌파하는 등 149만 1천694TEU를 처리했다.
지난해 처리량은 인천항 연간 컨테이너 물동량 305만TEU의 49%에 달하는 수치다.
SNCT 관계자는 "신항에 최신 장비가 속속 도입됨에 따라 경쟁력과 생산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신항이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인천항만공사는 신항 배후단지 1단계 214만㎡ 가운데 1구역 66만㎡를 연내 단계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신항에 하역장비와 배후단지가 안정적으로 공급되면, 인천 신항에서만 연간 210만TEU의 물동량을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항만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경인일보 2018.01.26.)
2. 해수부 ‘내항TOC 통합’ 야심찬 계획… 노·사 이견 암초(인천항)
2018년 인천 주요현안 업무계획 발표
내항 통합부두운영사 4월 출범 불투명
고용승계·기업결합 심사 등 ‘산 넘어 산’
해양수산부가 인천 내항TOC 통합 등을 담은 올해의 주요 사업계획을 발표했으나 해당 사업은 노사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는 등 난항이 우려된다.
해수부는 25일 기자브리핑을 통해 인천항 운영효율성 강화를 위한 내항TOC 통합부두운영사 출범(4월), 인천신항 항만배후단지(66만㎡) 조기공급, 중국어선 불법조업 근절을 위한 어업지도선 4척(1천500톤급) 신규 투입 및 ‘한·중 불법어업 단속시스템’ 공동운영 등 인천의 주요현안을 담은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현재 10개 부두운영사를 1개로 통합하는 인천항 내항TOC 통합부두운영사 4월 출범 사업은 현재 노·사가 고용승계 등의 문제로 합의점을 찾지 못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뿐만아니라 10개 부두운영사를 하나로 통합하기 위한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심사도 공정위의 자료 보정 명령 등으로 지연되고 있다.
공정위의 보정명령은 심사기간(최대 90일)에서 빠지게돼 인천해수청이 협조를 요청한 상태다. 그러나 공정위의 심사일이 언제 끝날지는 예측되지 않고 있다.
게다가 공정위의 심사가 끝나더라도 임시통합법인설립 및 내항운영방안 등을 논의해야해 해수부의 인천항 내항TOC 통합부두운영사 출범은 목표보다 늦어질 전망이다.
이와 함께 해수부는 이날 4천억원(정부 25% 지원)을 투입해 1~3구역으로 나누어 진행하는 인천신항 항만배후단지(66만㎡) 조성 사업의 경우 올 연말 1구역(사업비 1천300억원)을 완공하고 나머지 2~3구역도 오는 2020년까지 배후단지 조기공급을 목표로 부지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또 해수부는 중국어선 불법조업 근절을 위한 어업지도선 4척(1천500톤급) 신규로 제작해 올 하반기에 투입할 계획이며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국립인천해양박물관 건립 내용도 사업계획에 포함시켰다.
이밖에 해수부는 청년들의 귀어 활성화를 위해 청년어업인에게 월 100만원 정착자금 지원, 한국해양진흥공사를 설립해 50척의 선박 발주, 친환경 선박 대체 보조금 지원 등의 내용도 발표했다.
(경기일보 2018.01.25.)
3. 부산 신항 내 국적 연합 터미널 추진
해수부 올해 업무 계획 발표
- 현대상선·한진·다목적부두 연계
- 외국기업 장악한 지분 일부 확보
- 중복된 부대서비스 통합·재배치
- 7월 한국해양진흥공사 설립
- 안전한 수산식품 공급에도 매진
해양수산부가 외국 글로벌 기업들이 장악하고 있는 부산신항 터미널 지분을 늘려 국적 물류 기업 연합 터미널을 확보할 방침이다. 해수부는 ‘2018년 업무 계획’을 통해 항만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이를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외국 글로벌 기업들이 장악하고 있는 부산신항 터미널 지분의 일부를 신설되는 K-GTO(국내 선사 및 항만공사가 중심이 된 한국의 글로벌터미널운영사)가 확보해 국적 터미널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현재 부산 신항 터미널은 외국계가 장악해 국적 터미널 지분은 20%밖에 되지 않는다.
앞서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은 지난해 11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K-GTO가 꾸려지면 일단은 2018년 중 동남아 지역에 최소 한 곳 이상은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또 외국 지분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산항에 국적 기업과 BPA가 힘을 합쳐서 지분을 확보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해수부 관계자는 “어느 터미널 지분을 얼마만큼 확보할지는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인 단계라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항만업계에서는 현대상선이 2016년 싱가포르 항만 운영사 PSA에 매각했던 ‘PSA현대 부산신항만’을 다시 인수하기 위한 협상을 현재 벌이고 있어 이 과정에서 부산항만공사(BPA)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상선의 지분 인수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국적터미널인 한진부산(3부두)과 다목적 부두과 연계해 국적 물류 기업 연합 터미널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해수부는 또 부산신항의 터미널별로 중복 운영 중인 컨테이너 수리·세척·검역·통관 등 부대서비스를 통합하고 기능을 재배치할 방침이다. 부산신항의 컨테이너 부두와 항만배후 단지 등 인프라를 구축하고 장기 물동량과 선박대형화에 맞춰 중장기 부산항메가포트 육성전략을 올 하반기 수립할 계획이다.
해운산업 재건을 본격화기 위해 오는 7월 한국해양진흥공사를 설립해 초기 자본금 3조1000억 원을 활용해 50척의 선박신조 발주와 선사의 유동성 확보에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수산 분야에서는 건강하고 안전한 수산식품을 공급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양식어장 환경모니터링 강화, 패류어장 인근 하수처리시설 확충 등 연근해 어장환경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수산물 가공·유통·수출이 결합된 수출가공 클러스터 건립을 추진하고 자갈치·부산공동어시장 등 주요 수산시장을 현대화하고 유통종합단지를 건립할 방침이다. 낙후된 소규모 어항과 포구를 선진국형으로 재창조하기 위한 ‘어촌 뉴딜 300’ 종합 계획을 세워 단계적으로 현대화해나갈 계획이다.
(국제신문 2018.01.25.)
4. 군산항, 새로운 주력 화물 개발 시급
군산항 화물이 ‘차량 및 부품’과 ‘사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군산항 발전을 위한 새로운 주력 화물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군산지방해양수산청(청장 홍상표)에 따르면 지난해 군산항 화물 처리 실적은 수입 1천810만톤, 수출 287만4천톤, 연안 355만7천톤 등 총 1천924만1천톤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차량 및 부품’이 434만9천톤, ‘사료’ 416만1천톤으로 전체 대비 45%다.
그 뒤를 ‘시멘트’ 113만 2천 톤, ‘광석류’ 97만6천톤, ‘양곡’ 93만8천톤, ‘펄프’ 79만7천톤, ‘원목’ 74만7천톤 이 잇고 있다.
이처럼 ‘차량 및 부품’과 ‘사료’가 군산항에 차지하는 비중도는 매우 크다.
즉 이들 품목의 실적 여하에 따라 한해 군산항 성적표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로 지난해 군산항 실적은 지난 2016년 1천888만1천톤보다 36만톤(2%)증가했다.
‘사료’가 2016년과 비교해 49만5천톤이 감소했음에도 ‘차량 및 부품’이 소폭(6만톤)늘었고 전년 13만3천톤 대비 36만7천톤이 상승한 ‘목재 및 목탄’. 신규 화물인 유연탄35만2천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얘기다.
문제는 ‘차량 및 부품’과 ‘사료’가 향후 전망이 불확실하고 자연재해에 민감하다는 사실이다.
환적 차량이 활기를 띠고 있지만 한국지엠 군산공장이 여전히 정상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
또한, 2016년 사례가 말해주듯 사료 역시 AI나 구제역 등 동물 전염병 여파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군산항 한 관계자는 “지난해 가동에 들어간 유연탄 부두와 신재생에너지 원료로 사용되는 우드펠렛이 활기를 띠는 추세여서 군산항 전체 물동량이 늘 것으로 전망된다” 고 말했다.
(전북도민일보 2018.01.25.)
5. 해수부, 해운산업 재건 본격화…"해양진흥공사 올해 50척 발주지원“
오는 7월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출범하면, 50척의 선박 발주와 선사의 유동성 확보를 지원하게 된다.
해양수산부는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올해 주요업무 계획을 발표했다.
해양진흥공사는 공사 초기자본금 3조1000억원을 활용해 50척의 선박 신조를 지원한다.
해수부 관계자는 "한진해운이 파산한 이유는 여러 가지이지만, 선박을 적기에 확보하지 못한 부분이 굉장히 크다"며 "이에 따라 올해 해양진흥공사 통해 50척 신조를 지원하려고 한다. 시황정보도 적기에 제공해 선사가 경영 리스크를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선박 규모는 초대형부터 작은 선박까지 다양하다"며 "다만 선종·선형별로 달라서 몇만 TEU(1TEU는 20피트 짜리 컨테이너 1대)로 할지는 확실치 않다"고 부연했다.
해수부는 또한 친환경 선박 대체보조금 제도를 도입해 신조 비용의 10%를 지원한다. 올해 42억5000만원을 지원한다. 해운-조선 상생협의체를 차관급으로 격상한다.
물류기능 마비 등 긴급 상황에도 안정적인 항만운영이 가능하도록 '국가필수해운항만제도'를 도입한다. 올 상반기 중 관련 법률 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인천항 운영효율성 강화를 위한 통합부두운영사가 오는 4월 출범한다. 올 하반기 부산신항에 국적 물류기업 연합 터미널 확보도 추진한다.
자동화·지능화된 스마트 육상양식 단지 조성도 추진한다. 올 하반기 양식단지 조성·운영을 위해 기업·지역어민이 참여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할 예정이다.
김에 이어 어묵을 수출효자상품으로 육성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올 상반기 수립한다.
자갈치·부산공동어시장 등 주요 수산시장을 현대화하고, 유통종합단지 건립으로 수산물 유통·가공·관광을 융합한 수산복합공간을 조성한다.
액화천연가스(LNG) 추진선박 운항에 대비해 LNG 공급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고, 조류·파력 등 해양에너지 기술실증을 위한 실해역 시험장을 조성한다.
낙후된 소규모 어항·포구를 선진국형으로 재창조하기 위한 '어촌 뉴딜 300」 종합계획'을 올 상반기 수립하고 현대화를 추진한다.
해수부는 수협법을 개정해 어업인이면 누구나 어촌계에 가입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현재 수협조합원만 어촌계에 가입할 수 있다.
40세 미만 청년어업인에게 영어정착자금으로 월 100만원을 3년간 지급한다.
귀어인과 기존 주민이 어울릴 수 있는 '어(漁)울림 마을 조성계획'을 수립하고, 조건불리 수산직불금 지급대상을 상반기 중 모든 도서로 확대한다.
마리나 대중화를 위한 맞춤형 항로를 개발하고 의무보험료 인하를 추진한다. 올 연말까지 거점마리나 항만을 경남 창원에 착공한다.
천일염 사용 김치류·절임류 가공식품의 원산지표시 의무화 및 국민건강 관련성이 높은 품목을 대상으로 수산물 이력제 의무화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해수부는 독도 등 해양영토 관리기반 강화에도 나선다.
독도와 주변해역의 퇴적물, 지각 등에 대한 현지조사를 연 2회에서 4회로 늘리고, 독도 탐방(사회적 배려층 등), 민간단체 지원 등을 통한 대내·외 홍보를 확대한다.
오는 12월 화순항 해경부두 완공, 흑산도항 해경·어업지도선 부두 착공 등 해양영토 관리 인프라를 확충한다.
중국어선 불법조업 근절에 나선다.
해수부는 1500톤급 어업지도선 4척을 신규 투입하고, 단속정 승·하강장치 등을 보강한다. 또 불법조업 단속인력 88명을 확충한다.
이달부터 한·중 불법어업 단속시스템을 공동 운영하고, 지난해 일시 중단됐던 공동 순시와 단속 공무원 교차승선도 재개한다.
김영춘 해수부 장관은 "한국해양진흥공사 설립, 어촌뉴딜 300 종합계획 수립 등 주요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글로벌 해양강국 대한민국'을 실현하고, 올해를 해양수산업이 새롭게 도약하는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뉴시스 2018.01.25.)
6. [기고] 해운업 살려야 조선업이 살아난다
한종길 성결대 동아시아물류학부 교수
해운 - 조선 선박 매개로 공생
북미·유럽항로 경영통합으로
선사 시장점유율·경쟁력 강화
조선소 초대형선 발주 유도해야
정부는 해운과 조선의 상생 발전을 핵심정책으로 설정했다. 이는 과거 한국해양대에서 강의하며 후학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대통령이기에 가능한 정책이라고 믿고 싶다. 지난 정부의 그릇된 사실 판단과 부적절한 대책으로 허망하게 세계 5위의 정기선사를 잃어버린 실책을 극복하고 궁지에 빠진 조선업을 살리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정책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우조선해양을 방문해 세계 최고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가진 우리 조선업이 힘든 시기만 잘 이겨내면 다시 조선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하면서1·4분기 중 조선업 혁신성장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대통령의 이러한 기대가 현실이 되기 위해서는 해운업을 먼저 살려야만 한다.
전통적으로 해운과 조선은 선박을 매개로 고도의 상호 의존과 공생공존의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는 동일 산업 클러스터에 속하는 연관 산업이다. 노르웨이·영국·독일·미국·일본 등 선진국의 사례를 보면 해운업과 함께 조선업이 발전했고 해운업이 쇠퇴하면서 조선업도 쇠퇴했다. 세계 1위의 영국 조선업도 영국 해운업의 쇠퇴와 함께 세계 조선에서 단지 0.3%를 차지(CGT 기준)하는 수준으로 전락했다.
노동집약 산업인 조선업이 선진국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자국 해운의 든든한 수요 없이는 안 된다는 점은 선진국에서 유일하게 세계 수준의 조선업을 유지하는 일본이 증명하고 있다. 일본도 초기에는 수출주도형 조선업을 육성했지만 수요의 일정 부분을 국내 선사로 유도하는 해운금융정책, 대형 화주와 해운기업의 협력을 강력히 추진한 결과 일본 조선소가 건조하는 물량의 70%가 자국 선사의 것이다. 일본 선사의 100% 자국산 조선 기자재 사용은 일본 조선업의 납기 정확도를 높이고 일본의 해운조선뿐 아니라 조선 기자재 산업까지 상생 발전의 연결고리를 만들었다. 일본 해운업의 자국산 기자재 사용은 2차 세계대전 후 기술력 부족으로 절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던 조선 기자재 산업을 세계 제1의 위치로 견인했다. 자국 선사가 구매해주지 않으면 조선과 조선 기자재 산업의 발전은 한계가 있고 아무리 좋은 시설을 갖춘 항만일지라도 해외 대형 선사를 유치하기 위한 하역료 덤핑을 강요받게 된다. 지금 우리의 상황이 그렇지 아니한가.
그러나 해운조선 상생을 위한 국내의 상황은 녹록지 않다. 해운은 정부와 국민의 여망에도 경쟁력 회복과 거리가 먼 상태다. 지난 2017년 세계 20대 정기선사 중에서 유일하게 우리 선사만 적자를 기록했다. 수요는 없는데 조선소가 찍어내는 대형선 공급은 늘어나고 외국 선사의 대형선 투입과 그에 따른 중형선의 인트라 아시아 해역 투입으로 우리 선사의 설 땅은 더욱 좁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 해운업은 해운조선 상생을 주장하는 정부 정책에 적극 호응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현실적으로 신조선가의 차이를 고려하면 중국에 발주하는 것이 정당한 선택임에도 최근 브라질의 대형 화주가 발주한 초대형 광석전용선을 우리 조선소에 발주한 것이다.
노동집약적인 조선업과 달리 해운업은 자본집약적 산업이다. 대규모 자본의 투하가 가능한 강력한 재무구조를 가진 기업만이 생존 가능한 산업이다. 일본과 같이 타 사업 부문은 독립법인으로 두고 국내 원양선사의 북미나 유럽 항로의 정기선 부문은 경영통합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첫째, 국내 화주의 참여도 유도해 우리 선사의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둘째, 통합으로 우리 선사의 재무 체질을 강화하고 셋째, 강력해진 우리 선사로 하여금 국내 조선소에 초대형선 발주가 이뤄지도록 하자. 지금까지 우리 조선업을 살리려고 외국 선사에 지원했던 호조건의 수출금융은 우리 선사의 목을 조였을 뿐이다. 나무를 살리려면 무성한 나뭇잎(조선)만 보지 말고 뿌리(해운)를 보자.
(서울경제 2018.01.25.)
7. “국적해운사 너무 많다는 문제의식 갖고있다”
해수부 엄기두 해운물류국장, 컨테이너선사 통폐합 불지펴
해양수산부 엄기두 해운물류국장이 국내 컨테이너선사들의 통폐합 가능성을 언급해 관심이 모아진다.
엄기두 국장은 25일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한국해운연합(KSP)의 올해 사업 방향을 설명하면서 “해운연합에 14개 선사가 가입해 있는데 너무 많은 것 아니냐는 생각을 갖고 있고 이렇게 많아서 살 수 있을지 상당히 걱정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엄 국장은 14개 가입선사 중 적정하게 사업을 하는 곳을 현대상선 SM상선 고려해운 장금상선 흥아해운 남성해운 천경해운 동영해운 동진상선 등 7~9개 기업으로 한정했다. 두우해운 범주해운 태영상선 팬오션 한성라인 등은 빠진 명단이다. 14개든 7개든 기업 숫자가 너무 많다는 게 엄 국장의 생각이다.
그는 외국을 예로 들며 국내 컨테이너선사의 과밀화를 부각했다. 우리나라와 달리 대부분의 국가에선 아시아역내선사를 한 곳 정도밖에 가지고 있지 않다는 설명이다.
“일본은 아시아역내선사가 없고 최근 3대선사 컨테이너선부문이 합친 오션네트워크익스프레스(ONE)에서 근해항로를 하려고 나서는 상황이다. 중국은 SITC, 대만은 완하이라인 하나밖에 없다. 대만은 오히려 원양선사가 2~3곳 있다. 덴마크도 머스크 산하의 MCC 하나다.”
다만 예전 해운산업합리화처럼 국가가 나서서 선사들의 통합을 지휘할 의사는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대신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통합 논의를 진행해 줄 것을 바랐다. 1985년 마무리된 해운합리화를 통해 전두환정부는 66개 선사를 20개 선사로 통폐합한 바 있다.
“정부가 (선사가) 많다고 고민돼서 통폐합할 권한도 없고 그럴 능력도 없다. 잘하고 있는 기업들을 그렇게 할 생각은 전혀 없다. KSP를 처음 시작할 때와 똑같이 자율적으로 서로 협력해서 통합을 하길 바란다. 은행에 잡혀 있는 부실기업이라면 모르겠지만 정상적인 기업을 어떻게 할 수 없다. 그렇지만 (통합으로 가는 게) 맞는 거 같다.”
엄 국장은 또 “지난해 1단계인 항로합리화를 거쳐 2단계로 나아가야 한국해운이 산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고 말해 국적선사들의 통합을 KSP의 2단계 사업으로 규정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선사들은 지난해 두 차례의 항로합리화 과정을 거쳐 한국-태국ㆍ베트남(호치민)항로에서 2개노선을 통합하고 한국-인도네시아항로에서 1개노선을 철수하는 성과를 냈다. 태국ㆍ베트남항로에서 선박 3척, 인도네시아항로에서 선박 4척이다. 3차로 한국-베트남(하이퐁) 합리화가 진행될 예정이다.
엄 국장은 이날 정부 해운 재건 전략의 진행 상황을 소개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오는 7월 첫째주 설립과 동시에 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할 예정이다. 지난해 10월 엄기두 국장을 단장으로 하는 공사설립추진단이 구성돼 현재 활동 중으로, 해수부 6명과 한국해양보증보험 3명, 한국선박해양 2명, 해운거래정보센터(MEIC) 1명 등 총 12명이 추진단에서 일하고 있다.
다음달(2월) 초엔 강준석 차관과 공무원 3명, 민간 3명이 참여하는 7명 체제의 한국해양진흥공사 설립추진위원회가 발족할 예정이다. 엄 국장은 지난 11일 열린 선주협회 총회에서 설립위원회에 해운업계 인사 1명을 위촉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해양진흥공사 인력은 통합되는 정책금융기관 직원 50명을 포함해 총 120~150명 규모가 될 전망이다.
연장선상에서 다음달께 해운 재건 5개년 계획도 모습을 드러낸다. 엄 국장은 “해운 재건 5개년 계획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 관계부처와 막바지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관계장관 회의를 거쳐 2월 발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년 계획엔 선박과 컨테이너장비 터미널 확보 지원 등 원양 연근해 벌크선사들의 경영 안정화 정책이 종합적으로 담길 예정이다.
특히 신조선가의 15~40%를 지원하는 금융대출은 선사들의 구미를 자극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신용등급 BB인 선사까지 금융 지원 대상에 포함한다는 방침을 확정했다. 총 수혜 기업은 1금융권에서 대출이 가능한 신용등급 BBB 부채비율 400% 이하의 15개 해운사를 더해 60곳 정도가 될 전망이다. 연간 50~60척의 선박 신조를 지원하게 되는 셈이다.
아울러 공사에서 한국해운 발전에 기여하는 선사들의 재무상태를 정밀진단하는 경영환경 모니터링 사업도 5개년 계획에 실린다. 엄 국장은 “한국해운에 꼭 필요한 선사들, 경영을 잘 하는 선사들의 지원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국적선사의 자국화물 적취율 제고 대책도 가동한다. 현재 컨테이너 38%(원양 13%), 탱크선 28.1%, 벌크선 72.8% 정도인 자국화물 수송비율을 컨테이너 50%(원양 25%),탱크선 33.8%, 벌크선 80.1%로 끌어올린다는 게 해수부의 복안이다.
엄 국장은 2월에 김영춘 장관이 무역협회 상공회의소 선주협회 등과 상생협약(MOU)을 체결하는 데 이어 올해 하반기엔 ‘전략물자 국적선사 우선적취권 제도’를 부활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엄 국장은 대기업 물류자회사의 3자물류 시장 훼손 행위를 규제하는 대책도 강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해상운송주선을 하는 국제물류주선업체 중 일정 기준을 넘어서는 기업에겐 운임공표제와 금지 행위 등을 적용하는 법안을 만든다는 방침이다.
“국토부와 선주협회 국제물류협회 통합물류협회 등의 의견을 듣고 있다. 제도 도입을 통해 앞으로 3자 물류시장을 안정화하고 운임공표제 관리 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국적선사의 부산 북항 지분 투자와 부산 신항 추가 터미널 확보,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해외터미널 인수도 진행 중이다. 글로벌 터미널 운영사(K-GTO) 육성 정책의 하나다.
이밖에 연안여객선 준공영제 확대 예산 24억원 확보, 해사고 실습선 1척 신조,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선원 임금 12.6% 인상 등의 정책들이 확정됐다고 엄 국장은 밝혔다.
(코리아쉬핑가제트 2018.01.25.)
8. 佛 CMA CGM, 2만TEU급 컨테이너 선사 대열 합류
한진중공업 수빅조선소에서 인도서명식 거행
프랑스 CMA CGM이 한진중공업이 건조한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인도받으며 2만TEU급 선박 보유 해운사 대열에 합류한다.
한진중공업은 CMA CGM이 과거 발주한 2만1000TEU급 컨테이너선 3척 중 1차선을 26일 최종 인도한다고 밝혔다. 인도서명식은 선주사인 CMA CGM 임원단과 조선소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수빅조선소에서 거행된다.
선복량 기준 세계 3위 해운사인 CMA CGM은 앞서 명명식을 거행한 머스크라인 MOL OOCL에 이어 2만TEU급 초대형 선박을 처음으로 보유하게 된다. 지난해 머스크라인과 OOCL은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으로부터 각각 초대형선을 인도받은 바 있다. 이마바리조선에 선박을 발주한 MOL 역시 지난해 6월 사이조조선소에서 명명식을 가졌다.
지난해 중국 조선소에 2만2000TEU급 컨테이너선 9척을 발주한 이 해운사의 현재 발주잔량은 30만TEU를 웃돌고 있다. 2만1000TEU급 컨테이너선에 이어 한진중공업이 건조 중인 2~3차선도 마무리 공정을 거쳐 올해 안에 인도받을 계획이다.
지난 2015년 CMA CGM이 발주한 이 선박은 길이 400m, 폭 59m, 깊이 33m의 제원으로 한 번에 20피트짜리 컨테이너 2만1천개를 실을 수 있는 극초대형 컨테이너 운반선(ULCS, Ultra Large Container Ship)이다. 갑판 면적만 축구장 4개 넓이에 달하며 적재된 컨테이너를 일렬로 놓으면 서울에서 평창까지(127km) 거리다.
보통 컨테이너선의 경우 크기가 클수록 적재 가능한 컨테이너 수가 늘어나 운송비용이 절감돼 수익성과 운항효율이 높다. 선사들간 인수 합병 등 해운시장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짐에 따라 규모의 경제 효과가 더욱 중요시되면서 컨테이너선의 대형화도 가속화되는 추세다.
한진중공업 관계자는 “현재 극초대형 컨테이너선을 건조할 수 있는 조선소는 전 세계적으로 손에 꼽힌다”라며 “수빅조선소가 2만1000TEU급 컨테이너선을 완벽히 건조 인도하면서 글로벌 조선소로서의 역량과 기술력을 다시 한 번 인정받게 됐다”고 강조했다.
(코리아쉬핑가제트 2018.01.25.)
9. World’s Largest Port Uses British Steel for New Growth
Shanghai's Yangshan deep water facility, the world’s largest cargo port, has signed a deal with British Steel, a manufacturer of high-quality steel products, to supply crane rails for the fourth stage of the $83 billion project.
The order, delivered through Steel CLIK, a major supplier in the crane rail market, will enable the port of Shanghai to handle huge container ships with depths of up to 15 metres.
Under the terms of the deal, British Steel has already supplied 4,650 tonnes of special profiles for the Yangshan development with a further 3,000 tonnes to follow for the next phase.
Peter Gate, Managing Director of British Steel’s Special Profiles business, said: “China offers us a great opportunity so we’re delighted to be bringing our products to market through Steel CLIK.
“The Yangshan project is a highly prestigious development and, given the competition we faced, we’re immensely proud to have been awarded this contract.
“Our crane rails are of a very high quality and strength and will ensure the port, which will handle millions of tonnes of cargo a year, has exceptional capabilities.”
British Steel’s crane rails are developed for overhead gantry and floor-mounted cranes in ports, warehouses and shipyards across the globe.
Its track shoe long bar and cutting edges are key components in earthmoving equipment.
Shanghai’s Yangshan development is unique – not only because of its sheer size but because of the shallow waters surrounding the offshore islands of Greater and Lesser Yangshan where the port is being built.
The project started in 2002 and, according to the plan design, the deep water facility will be completed in 2020.
It is connected to the mainland by the 20-mile-long Donghai bridge – the world’s longest sea bridge.
Port Technology's Container Terminal Automation Conference will focus on how ports can utilize automated intelligence & AI on March 14 – 15, 2018 - London, UK
Gate added: “We’re delighted to be working with Steel CLIK on the Yangshan project, it will be an incredible development once it’s completed.
“For major projects like this we can customise crane rail in terms of steel grade and provide lengths of up to 16 metres – this means there are less joints which is a major benefit to developers as they can carry heavier loads and maximise efficiency.”
A Steel CLIK spokesman said: “Steel CLIK is a leading solution supplier for projects and special steel users. We have played important roles in most of China’s ports including Shanghai and Qingdao.
“Our years of expertise and quality rails from British Steel have definitely helped us win most of the jobs in the market, not only in China but also in Vietnam, Brazil, Thailand, India.”
(Port technology 2018.01.25.)
10. Denmark Produces Global Maritime Hub Plan
The Danish government has produced a plan that will grow the Danish maritime sector into a global maritime hub by 2025.
Denmark wants to become a global frontrunner through tests of maritime autonomous technologies and maritime digitalization, creating more work-experience places at sea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applicants admitted to the training programmes for masters and ship officers.
It will also work closely with industry to ensure the development of an overall maritime marketing strategy.
The Government’s ‘Plan for Growth’ is based on the recommendations made by its Maritime Strategy Team.
Brian Mikkelsen, Denmark’s Minister for Industry, Business and Growth, said: ”With the Plan for Growth in the Danish Maritime Sector, the Government has set the course for Denmark to become a global maritime power hub by 2025.
“Now, all forces in the Danish maritime sector must join forces, roll up their sleeves and get to work to make the vision behind the plan for growth into reality.”
The Danish maritime sector is one of the country’s most important export sectors and a major supplier of jobs.
However, the industry is faced with tough competition in the world market; a market undergoing rapid change as a consequence of changes to the global distribution of work, consumer behaviour and digit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The 36 initiatives presented in the Plan for Growth focus on individual challenges as well as on more general framework conditions, and is based on the results already achieved through an industrial and entrepreneurial agreement from November 2017.
This agreement involved an extens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so-called DIS scheme (Danish International Register of Shipping) to seafarers on board offshore special ships, initial dialogue with the EU Commission about a scheme for maritime service engineers and the removal of the registration fee for merchant ships.
Lars Jensen, CEO, SeaIntelligence, recently forecasted the industry’s developments as far into the future as 2025 in his 'Liner Shipping in 2025' technical paper
Karsten Lauritzen, Demark’s minister of Taxation, said: “When we strengthen the maritime sector we strengthen the entire country.
“We have made several steps towards becoming an even stronger nation in the maritime sectors by reducing taxes and fees.
“As minister of Taxation I am very satisfied with the new plan for growth as we continue this course.”
The agreed elimination of the fee for registration of merchant ships is already benefitting Demark.
Brian Mikkelsen, the minister of Industry, Business and Financial Affairs, said: “Abolishing the fee for registration has removed a substantial factor when shipping companies choose where to register their ships.
“The abolishment will make DIS (Danish International Register of Ships) more attractive. I see the news that Maersk will register more ships under Danish flag as a clear sign of this.”
The plan’s initiatives will be implemented on an ongoing basis towards 2025 in cooperation with the industry and research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Companies in the maritime sector can now recruit employees with the right qualifications to establish more flexible work-experience jobs and increasing the recruitment of master and ship officers programmes.
Søren Pind, Minister of Education and Research, said: “It is important that more young people see the opportunities of a future in the maritime businesses.
“Education of high quality and skilled young people is essential for the maritime sector to be an important part of the future growth of Denmark.”
(Port technology 2018.01.25.)
첨부파일
- DAILY NEWS-20180126.docx (108.4K) 6회 다운로드 | DATE : 2018-01-30 19: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