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NEWS_ 2018.7.2 (월)
본문
DAILY NEWS_ 2018.7.2 (월)
1. 인천항 크루즈 입항 급격히 감소
- 지난 6월말 현재 크루즈 4척에 불과… 지난 3년 간 보다 상당히 위축
- 인천항만공사, 크루즈 유치 마케팅 적극 나서
국내 크루즈 관광산업이 장기 침체를 겪고 있는 가운데 인천항에 입항하는 크루즈가 당초 예상 보다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내년도 크루즈 전용부두 및 터미널 개장에 차질이 생기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대비, 인천항만공사(IPA)는 크루즈 유치를 위한 마케팅 행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3일 인천항만공사에 따르면 올 6월말 현재 인천항에는 총 4척의 크루즈가 입항했다. 지난 2015년 53척, 2016년 62척에 비해 상당히 위축된 상황이다.
지난 2017년에도 인천항에 입항하려 했던 크루즈선 76척 중 59척이 중국의 사드 보복 이후 기항을 취소하면서 크루즈선 입항 실적은 17척으로 급감했다.
이는 중국의 사드 보복 여파가 가시지 않은 영향 등으로 인천 크루즈 시장 전망이 어둡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또한 점차 늘어날 크루즈 수요와 카페리 물동량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8월부터 신국제여객부두 3단계 확장 사업 사전 타당성 조사 수립 용역을 진행하고 있지만, 인천항의 크루즈선 기항 실적이 급격해지면서 이 사업 추진 명분을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올해 들어서도 5000명에 가까운 승객을 태울 수 있는 중국발 크루즈선 퀸텀 오브 더 시즈 호가 갑자기 지난달 6일 인천항에 입합 일정을 취소하는 등 지금까지 인천항 입항 예정 크루즈선 26척 가운데 모두 8척이 기항을 취소했다.
이처럼, 중국발 크루즈 기항 중단 등으로 인천항 크루즈 입항 침체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자, 인천항만공사는 중국에 편중된 기존 홍보전략과 마케팅 방식에서 탈피하고 월드크루즈선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항만공사는 “내년에는 사상 최다인 20척의 월드크루즈가 인천항에 배를 기항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하는 등 크루즈 시장을 다변화하기 위한 노력이 차츰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며 “크루즈 터미널 개장 때인 내년 4월에 맞춰 ‘코스타세레나호’의 모항 크루즈를 한 차례 더 확보해 놓은 상황이고 하반기에는 사드 해빙국면에 대비해 천진, 연태,상해 등 중국 포트세일즈도 두 차례 더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서울과 제주 등 국내에서 열리는 크고 작은 크루즈ㆍ관광 이벤트에도 빠짐없이 참가해 인천항 홍보를 가속화 하겠다고 덧붙였다.
인천항만공사 남봉현 사장은 “본격적인 중국과의 관광재개에 대비해 인천항 크루즈 기항 분위기를 되살리고, 내년에 개장하는 크루즈 터미널이 조기에 활성화될 수 있도록 팸투어, 국내외 포트세일즈 등 마케팅 활동에 더욱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2017년 국정감사에서 인천항은 지난 2016년 16만5088명이었던 크루즈 승객수가 지난해 2만9595으로 82%(13만5493명) 급감했다. 이 중 중국인 승객은 작년15만1675명에서 4788명으로 96.8%(14만6887)나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중국인 여객수 감소는 수입 감소로 이어졌다. 인천항만공사의 크루즈 여객 수입은 선박입출항료, 접안료, 항만시설이용료로 구성돼 있다.
인천항만공사의 경우 지난 2016년 6억2600만원에서 2017년 1억4600만원으로 76.7%나 수입이 감소했다.
(헤럴드경제 2018.07.02.)
2. 자성대부두 운영사 재계약 놓고 '불확실성 가중'(부산항)
부산항 물동량의 10%를 담당하는 부산항 북항 자성대부두 운영사가 부산항만공사(BPA)와 맺은 임대차 계약 만료가 1년 앞으로 다가왔는데도 계약 연장 여부가 정해지지 않아 부두 노동자 일자리와 물동량 처리에 대한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해양수산부와 BPA가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한 협의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허치슨터미널 계약 1년 남아
지난 3월 BPA에 갱신 신청
BPA "만료 6개월 내 통보"
북항 통합 개발과 맞물려
해수부 등 조속한 협상 필요
1일 BPA와 항만업계에 따르면 자성대부두 운영사인 한국허치슨터미널(HKT)이 부산항만공사와 맺은 부두 임대차 계약이 내년 6월 30일 만료된다.
2004년 이 계약을 맺으면서 양쪽은 만료 6개월 전 HKT가 계약 갱신을 신청하면 BPA는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임대차 기간을 10년 단위로 연장(최대 30년)할 수 있도록 했다.
선사와 부두 운영사의 기항 계약이 최소 1년 전 이뤄지는 업계 관행 때문에 HKT는 지난 3월 계약 갱신을 신청했지만 BPA는 아직 명확한 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해수부는 자성대부두가 포함된 북항 통합개발 1단계 사업을 2030년까지 마무리 짓겠다며, 계약 만료 6개월 전까지 연장 여부를 통보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히고 있다.
자성대부두는 부산항 전체 연간 물동량의 10%에 이르는 200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를 처리하고, 상용 노동자 600여 명의 일자리가 달려 있는 곳이다. 연관산업까지 고려하면 1000여 명에 이른다.
BPA 관계자는 "북항 통합개발을 하더라도 700만TEU를 처리하는 북항 항만 기능은 2035년까지 유지할 필요가 있다"며 "최소한 신항 2~4단계가 개장하는 2022년까지는 자성대부두가 존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히고 있다.
이런 입장이 나오는 이유는 자성대부두를 당장 폐쇄하더라도 이 물량을 받아줄 부두가 없기 때문이다.
또 업계 일각에서는 자성대부두 기능을 부산항대교 바깥인 북항 신선대부두 유휴 선석 쪽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거론하기도 한다. 부산항대교 바깥은 북항 통합개발 2단계 대상 부지여서 부두 운영 기간이 더 길게 확보되기 때문이다.
국가가 조성한 자성대부두는 1999년 현대상선이 임차해 운영하다 2002년 유동성 위기를 겪으면서 글로벌 터미널 운영사(GTO)인 허치슨이 운영권을 넘겨받았다.
업계 관계자는 "항만 당국도 고민이 크겠지만 허치슨을 곤경으로 몰아 내쫓으려 한다는 오해를 받지 않으려면 조속한 시일 내 자성대부두 문제에 대한 명확한 계획을 내놓고, 노동자 일자리와 물량 문제에 대한 협의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부산일보 2018.07.01.)
3. 부산항에 플로팅 LNG벙커링 터미널(FLBT) 들어선다
가스공사-부산항만공사 5일 ‘LNG벙커링 체계 구축·활성화 협약’ 체결
부산항이 LNG벙커링사업의 전초기지로 탈바꿈된다. 국내 최대 항만이자 내·외무역의 관문인 부산항에 플로팅 LNG벙커링 터미널(FLBT)이 들어선다.
한국가스공사(사장 정승일)와 부산항만공사(사장 우예종)는 오는 5일 부산항만공사 중회의실에서 ‘LNG벙커링 체계 구축과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2020년 시행예정인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연료 황 함유량 기준 강화(0.5%)에 대응할 목적으로 부산항 내 LNG벙커링 체계 구축과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협력이다.
협약을 바탕으로 두 기관은 앞으로 부산항 내에 FLBT(Floating LNG Bunkering Terminal) 등의 구축을 목적으로 LNG벙커링사업 추진을 위한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을 추진한다.
또 LNG 추진선에 대한 지원방안에 대해 공동 연구하고 외항선을 대상으로까지 LNG벙커링 확대를 위한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등 부산항의 종합적 LNG벙커링 활성화 방안 연구에 공동으로 나선다.
앞서 지난 4월 정부는 ‘제13차 장기 천연가스수급계획’ 발표 당시 천연가스 신시장 창출 방안의 일환으로 LNG벙커링 사업을 적극 추진할 것을 밝힌 바 있다. 국제해사기구의 선박배출가스 규제로 친환경 LNG 연료사용이 확대되면서 LNG벙커링 수요증가 또한 예상된다. DNL·GV에 따르면 세계 LNG 연료 추진선은 올해 106척에서 2024년302척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가스공사도 통영LNG기지 내에 LNG 선적설비 건설과 벙커링 가능 LNG 수송선 건조에 나서는 등 LNG벙커링 인프라 확대를 위해 다양한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
특히 가스공사의 LNG벙커링 사업은 ‘국내 LNG벙커링 산업 제도개선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더욱 본격화할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7월 발주한 이 연구는 에너지경제연구원이 낙찰 받아 최근 연구를 완료하고 이달 안 공식 발표를 앞두고 있다.
약 10개월 동안 진행된 연구는 현행 제도 상 LNG벙커링 사업 추진 시의 한계점과 벙커링 관련법, 제도 간 상충되거나 미비사항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LNG벙커링 사업 구조의 기반마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국내·외 현황 분석과 해외 선진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LNG벙커링의 경쟁력 확보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특히 연구에서는 벙커링용 LNG 물량 도입의 안정성과 유연성 확보 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천연가스 직수입과 도매사업자와 물량교환, 과부족과 BOG 처리 방안,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수급조정명령 발동 등의 내용을 포함한 제도개선 및 법제화 방안을 담고 있어 주목된다.
아울러 △기존 도시가스사업 및 수출입업·반출입업과 업역 구분 △연안 충전사업자, 국제벙커링 사업자에 대한 구분 △신규 자체시설 확보 기준 △기존시설에 대한 접근 권한 △시설 이용료 △도시가스사업자 외의 가스공급시설 설치자에 대한 기준 등을 명확히 제시할 예정이어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에너지경제 2018.07.02.)
4. 울산항 5월 ‘컨’물동량 소폭 증가
액체화물·일반화물 감소세
울산항이 5월 한 달 동안 처리한 총 물동량이 1705만t으로, 전년 동월 1747만t 대비 2.4% 감소했다. 울산항만공사(UPA)에 따르면 컨테이너를 제외한 액체화물과 일반화물의 물동량은 지난해보다 감소세를 보였다.
화물별로 컨테이너는 지난해보다 소폭 증가한 3만8000TEU를 기록했다. 품목별 톤수 기준으로 차량 및 그 부품과 석유정제품이 각각 195.9%, 457.6% 폭증했다. 기계류는81.3% 감소했다.
액체화물은 1386만t으로 집계돼 전년 동월 대비 2.1% 감소했다. 전체 물동량 중 액체화물의 비중은 81.3%를 차지했다. 품목별로 석유가스 및 기타가스가 22.3% 증가한 반면, 원유와 석유정제품은 각각 1.8% 6.3% 감소했다. 액체물동량 감소에 대해 UPA는 “지난해 정유 및 석유화학 호황에 따른 기저효과로 물량이 소폭 감소했지만, 3~4월 정유사 정기보수 일정이 대부분 종료돼 물동량이 감소세에서 반등흐름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일반화물은 319만t을 기록해 지난해 대비 3.6% 감소했다. 미국의 철강쿼터제 영향으로 5월 철강 및 그 제품의 물동량은 47% 급감한 20만t에 그쳤다. 기계류 및 그 부품도58.8% 후퇴했다. 비철금속 및 그 제품은 108% 폭증했다.
1~5월 누계 총물동량은 지난해보다 5.2% 감소한 8097만t을 기록했다. 누계수치에서도 컨테이너만 증가세를 보였고, 액체화물과 일반화물은 감소세를 띠었다. 컨테이너 물동량은 19만7000TEU로, 지난해 19만2000TEU 대비 2.4% 증가했다. 액체물동량은 6657만t으로 지난해 대비 4.7% 감소했다. 일반화물 물동량은 1440만t으로 전년 대비7.5% 감소했다.
UPA 관계자는 “5월 액체화물 물동량이 회복되면서 1월 이후 월간 물동량은 1700만t대를 회복했다”며 “물동량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한 번 2억t을 달성할 수 있도록, 품목별 모니터링과 물동량 급감 화종에 대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코리아쉬핑가제트 2018.07.02.)
5. 국토부, 현대차 '자율주행 대형트럭' 임시운행 허가
자율주행 대형트럭이 일반 도로에서 주행하는 모습을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현대자동차의 자율주행 대형트럭에 대해 임시운행을 허가한다고 2일 밝혔다.
화물 운송용 대형트럭(대형 트랙터·트레일러 기반)이 임시운행허가를 받은 것은 지난 2016년 2월 제도가 도입된 이래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허가로 47대의 자율주행차가 전국을 시험 주행하게 됐다.
현대차의 자율주행 대형트럭은 레이더·라이다 등의 감지기를 장착했고 정밀도로지도를 기반으로 해 안전성과 정확도를 높였다.
특히 현대차는 자율주행 물류운송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추진 중이다. 주로 인천항으로 가는 영동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등을 주행하면서 기술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민간의 자유로운 기술개발을 위해 임시운행허가 제도를 도입했다. 또 정확하고 안전한 자율주행을 위해 정밀도로지도를 구축해 무료로 제공하는 등 자율주행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해 물류·교통체계를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카 셰어링(자동차 공유서비스)과 트럭군집주행 등 실증 연구개발을 단계적으로 추진 중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허가가 트럭 군집주행 등 자율주행 물류혁신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앞으로도 정밀도로지도를 확대 구축하고 연구개발을 추진하는 등 자율주행기술이 대중교통·물류에 조속히 도입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뉴스투데이 2018.07.02.)
6. 상반기 수출 2975억 달러…사상 최대치
6월 512억 달러로 4개월 연속 500억 달러 돌파
6월 수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사상 최초로 연 4회, 4개월 연속 500억 달러 이상을 기록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6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통관 기준)은 512억3000만달러로 지난해 6월과 비교해 0.089% 줄었다.
산업부는 수출이 전년동기 대비 감소한 이유로 조업일수가 지난해에 비해 1.5일 감소한 점과 지난해 6월 대규모 선박 수출(73.7억 달러, 역대 1위) 기저효과 등을 꼽았다.
처음으로 연 4회, 4개월 연속 500억 달러 이상 수출을 달성했고, 조업일 요인을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23억8000만달러로 역대 2위를 기록했다.
1월부터 누적된 상반기 수출액도 6.6% 증가한 2975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다.
상반기 일평균 수출은 22억4000만달러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13대 주력품목 중 석유제품(72.1%), 컴퓨터(48.5%), 반도체(39.0%), 석유화학(17.6%), 차부품(2.4%), 일반기계(1.5%), 섬유(1.2%) 등 7개가 증가했다.
반도체 수출은 111억6000만달러로 2개월 연속 100억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주력품목 내 고부가가치 품목인 OLED(유기발광 다이오드)·SSD(차세대 저장장치) 수출은 두 자릿수 증가했다.
메모리 가격 안정세로 수출 증가세가 21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일반기계는 4개월 연속 40억달러, 석유화학 7개월 연속 40억달러, 석유제품 8개월 연속 30억달러 이상 수출을 기록하며 반도체와 함께 한국 수출을 견인하고 있다.
다만 철강(-1.6%), 무선통신기기(-1.5%), 자동차(-9.9%), 디스플레이(-10.5%), 가전(-21.6%), 선박(-82.7%) 등 6개 품목은 수출이 줄었다.
지역별로는 대(對)중국·미국·유럽연합·일본·인도 등 5개 지역의 수출이 증가했다.
특히 수출 비중이 가장 높은 중국은 138억5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29.8% 성장하며 역대 2위 실적을 보였고, 20개월째 연속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미국은 수입규제 영향으로 철강과 가전 수출이 줄었지만, 자동차와 일반기계, 무선통신기기, 반도체 등 수출이 증가했다.
반면 아세안(-1.3%), 중남미(-7.4%), 베트남(-8.7%), 중동(-10.4%), 독립국가연합(-28.0%) 수출은 줄었다. 6월 수입은 449억1000만달러로 지난해보다 10.7% 늘었고, 무역수지는 63억2000만달러 흑자로 77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수출입과 044-203-4040
(정책브리핑 2018.07.02.)
7. 정기선사들, 7월 아-유럽 운임 상승 예상
아시아-북유럽항로 취항선사들은 7월 1일부터 운임을 TEU당 500달러 높일 전망이다. 성수기 시작으로 스페이스가 줄어들것으로 예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선사들은 점진적인 소폭 인상 보다 한 번에 큰 폭으로 운임을 인상하는 충격 전략을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선택은 성수기가 지나면 운임을 인상할 기회가 없을 수도 있다는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영국 The Loadstar는 보도했다.
한 선사 정보통은 큰 폭의 운임 인상을 발표하기로 했다. 이 선사는 “만약 우리가 200 달러를 요구했다 해도 얻어내지 못했을 것이며, 더 잃을 것도 얻을 것도 없다”고 큰 폭의 운임인상 배경을 설명했다.
FAK(FAK(Freight-all kinds) 발표는 컨테이너 현물 운임이 지난주 주요 무역로 전역에서 약세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나타났다. 지난주 상하이 컨운임 지수(SCFI)는 전년 동기 대비 9% 상승했지만, 전주에 비해서는 3.4% 하락한 751포인트로 저조했다.
컨테이너 선사들은 6월 15일 예정된 일반운임인상을 취소할 수 밖에 없었다. 선박 가동률 수준이 크게 하락했기 때문이다. 지난 주에 선사들로부터 첫 반응이 나왔다. MSC는 다음 달 2M 파트너 업체인 머스크와 공동으로 운영하는 뉴이글 서비스를 종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MSC는 이는 태평양항로의 어려운 운영 환경 때문이라고 밝혔다.
MSC는 다른 루프로 가는 포워드 예약 이전을 위한 비상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하주들이 겪는 차질이 줄어들기를 바란다고 MSC는 말했다.
현재 수급 불균형에 더해 태평양 횡단 선사들은 미국과 중국간 무역 갈등 심화에 따른 영향에 직면하고 있다.
알파라이너는 이번주 미국과 중국이 부과한 징벌적인 관세로 인해 다음달 태평양 횡단 교역 물량 중 7%가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추산했다.
(쉬핑데일리 2018.06.29.)
8. 선박배출가스 규제, LNG 대안아니다?
LNG 온실가스 영향 더 커, 메탄규제시 운항중단
글로벌 넘버 3선사인 프랑스 CMA CGM은 신조 발주한 2만 2,000TEU급 9척의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LNG 연료를 사용하기로 했다. 최근 포스코 전용선사들은 스크러버를 설치하기로 하는 등 국제해사기구(IMO)의 2020년부터 시행되는 0.5% 이상의 고유황 연료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지난 4월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Committee(MEPC)에서 2050년까지 해운의 온실 가스 배출량((Greenhouse Gas: GHG)을 최소 50%까지 감축한다는 방안을 채택했다.이번에 채택된 합의안은 2018년 대비 2030년까지 40%, 2050년까지 50-70% 감축한다는 내용이다.
알려진대로 글로벌 해운업계는 IMO 규제를 대응하기위해서는 3가지 솔류션을 있다. 첫째는 0.5% 저유황 연료를 사용하는 것이지만 중유보다 비싸다. 둘째는 스크러버이다. 스크러버는 상대적으로 새로운 기술이지만, 장점과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셋째가 LNG이다.
이에대해 현재까지 상당수 선사들은 저유황 연료를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머스크 등 많은 선사들은 선택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LNG가 온실 가스 배출량 감축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컨설팅 업체 UMAS(University Maritime Advisory Services)에서 확인한 연구에 따르면 해상 및 내륙 해운에 LNG 급유에 수십억 달러를 쏟아 붓는다 해도 배출가스 감축 비중은 6-10% 정도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LNG사용에도 괄목할만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 없어
또한 보고서는 이미 EU(유럽연합)에서 5억 달러 정도의 자금을 Connecting Europe Facility(CEF) 같은 툴을 이용해 인프라를 구축했음에도 그 결과 괄목할만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해운은 2012년 기준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가스중 3%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추세가 지속될 경우 해운은 2050년이 되면 6~14% 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글로벌 무역 중 80% 정도가 해운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UN 파리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EU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를 줄이고 2050년까지 제로 수준으로 낮추기 위한 전략을 연말에 공개할 예정이다.
브뤼셀은 경제 모든 부문이 탈탄소화의 상당 부분에서 역할을 하기를 촉구하고 있고, IMO의 2050년까지 2008년 대비 최소 50% 배출물 감소 협약도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합의된 것이다.
그러나 IMO의 합의는 구속력이 없고 2030년 지나서야 최종 계획이 나올 것이기 때문에 투자 방향성을 정하기에는 불확실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IMO가 제로 배출 전략에 대한 야심을 높일 경우 LNG 선박들은 오도가도 못하게 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NGO그룹으로 이번 연구에 참여한 Transport & Environment는 EU가 필요로 하는 더 많은 배출량을 감축할 검증된 기술을 지원하는 편이 낫다고 주장하고 있다. 여기에는 항만측의 처리와 액체 수소 인프라 등이 포함된다고 Transport & Environment는 밝혔다.
LNG 이용으로 유황 배출물에 대한 IMO의 2020년 상한 제도가 탄력을 받을 수는 있겠지만, 해운 부문에서 LNG 연료로의 전환은 저탄소 미래에 있어 일시적일 뿐이라고UMAS 연구원 Domagoj Baresic는 주장했다.
다른 옵션으로는 바이오연료, 전기화, 수소 등이 있지만, 비용과 구성 무게 때문에 타당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LNG가 수송하기 편하지만, 주요 단점 중 하나가 높은 높은 메탄 포함 수준으로, 메탄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이산화탄소 보다 더 크다고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메탄 슬리핑(slipping)의 영향에 대해 설명했다. 연소되지 않은 LNG는 선박의 배기물을 대기중에 보낼 때, 메탄 슬리핑이 상황에 따라 디젤에 비해 배출물 감축 증가분을 없앨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사이언스지에 따르면 지난주 뉴욕의 비영리 환경 단체인 환경보호기금(EDF, Environmental Defense Fund) 소속 과학자들이 “현재 미국에 있는 천연가스 생산시설로부터 유출되는 천연가스 량이 정부가 발표한 것과 비교해 2배에 이른다”고 주장했다. EDF 연구팀은 20여개 주 정부와 대학, 그리고 비영리기구 과학자들과 협력해 펜실베이니아, 텍사스, 콜로라도, 유타, 노스다코타, 알칸사스 주 등에 소재한 천연가스 유정, 저장탱크, 정제공장, 그리고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지하 파이프 등을 조사결과 지난2015년 한 해 동안 메탄가스 유출량이 미국 전체 천연가스 생산량의 2.3%에 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미국 환경보호국(EPA)이 추정해 발표한 1.4%와 비교해 거의2배에 달하는 것이다.
LNG 주원료 메탄, 온실가스 영향 더 클수도
EDF 대표 과학자 스티브 햄버그(Steve Hamburg)박사는 미국 네트워크에서 가스 생산분 중 2.7% 이상이 유출될 경우 온실가스 영향은 석탄 동력에서 발생하는 것보다 더 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연구는 총 2.3%의 유출분을 추산하기 위한 10년 간의 연구를 기초로 한 것이다.
메탄은 온실가스가 생성되는데 18% 정도의 비중을 차지한다. 이산화탄소처럼 오랜 시간 남아 있지는 않지만 온실효과는 가장 강력하다. 이 성분을 다량 함유한 천연가스가 대량 유출되고 있다는 것이다.
스티브 햄버그(Steve Hamburg) 박사는 “이렇게 배출된 메탄가스는 지난 20년 간 석탄 공장에서 배출한 이산화탄소량에 맞먹을 정도로 지구온난화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논란은 앞으로 해운업계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메탄 규제문제가 발생할 경우 LNG연료 역시 규제 대상이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쉬핑데일리 2018.06.29.)
9. COSCO Finalizes OOCL Deal
COSCO’s takeover of OOCL has been approved by Chinese anti-trust authorities a day earlier than the intended deadline of June 30, according to Tradewinds.
By merging with OOCL, COSCO’s new combined fleet of around 400 vessels will manage an annual capacity of more than 2.7 million TEU, which, according to shipping analyst Alphaliner’s data, will push it ahead of CMA CGM to make it the third largest ocean carrier in the world.
The merger’s impact on container shipping competition has concerned analysts as the top six ocean carriers’ market share will swell to over 60%.
Read the technical paper from Samalaju Industrial Park on using renewable energy to power bulk operations
China-US trade war fears and the merger’s regulatory approval have negatively impacted OOCL’s stock value.
It was predicted that COSCO could have faced large fines if it had fallen short of the merger’s agreed deadline.
An Alphaliner newsletter in April stated: “OOIL will receive a break fee of $253 million if COSCO fails to complete the deal by the deadline, but the fee would be waived if the transaction 'fail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CFIUS', even though the CFIUS clearance was not listed as one of the five pre-conditions for the offer from COSCO.”
(Port technology 2018.06.29.)
10. Long Beach and Oakland Call for Government Aid
The executive directors of the ports of Oakland and Long Beach have called for the US government to continue their support of maritime clean air efforts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s.
Port of Long Beach Executive Director Mario Cordero and Port of Oakland Executive Director Chris Lytle made the address to an audience of 100 at a Pacific Trade Association gathering in Oakland.
The directors both called for government aid and policy direction, stating that both are imperative for the industry to digest global trade growth whilst simultaneously controlling and reducing diesel emissions from freight transport.
Lytle, who was previously Long Beach’s executive director before moving to Oakland, commented: “In California, we have the cleanest ports in the world.
“But we could use help if we’re going to do more.”
Former Chairman of the Federal Maritime Commission, Mr. Cordero, added: “We’ll be as successful as government support allows us to be.”
Read the latest technical paper from QLess, the software company that fixed DP World Antwerp's road congestion issues
Speaking at a panel discussion for trade and transport executives, the two directors expressed gratitude for previous government grants that have supported their clean air initiatives.
Long Beach has reported a reduction in diesel particulate emissions of 88% in the past decade, while Oakland has reported a 76% reduction.
However, Lytle has called for further aid for such initiatives, stating that nationwide clean air regulations would be necessary to bring ports across the US up to California’s standards.
Cordero also commented that the US needs a national freight policy to make port infrastructure a government priority.
The port of Oakland has recently invested in major infrastructure developments to optimize road and rail transport links at the port, which has been funded by the Alameda County Transportation Commission with a $500 million investment.
Commenting on the funding, Lytle said: “We can’t afford to do this ourselves.
“We rely on government to help and in this case, they’ve really stepped up.”
(Port technology 2018.06.29.)
첨부파일
- DAILY NEWS-20180702.docx (95.5K) 32회 다운로드 | DATE : 2018-07-22 13:2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