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NEWS_ 2017.11.14 (화)
본문
DAILY NEWS_ 2017.11.14 (화)
1. 인천항 주변에 대형 화물주차장 만든다
인천시, 화물발전 종합계획 발표
아암물류1단지 등 5곳에 조성… 2000대 규모로 휴게실도 만들어
인천은 트럭이나 트레일러 같은 대형 화물차가 많이 오가는 도시다.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 수도권매립지, 화력발전소, 국가산업단지가 몰려 있다. 전국에서 비행기에 실리는 연간 국제화물 378만 t 가운데 94%인 335만3000t이 인천에서 처리된다. 전국 항만 국제화물 14억6640만 t 가운데 11%인 1억6130만 t이 인천항으로 오간다. 이들 물류 처리를 위해 인천시에 등록된 화물차가 올해 3만 대를 넘어섰다(3만1953대).
하지만 화물차를 세울 수 있는 주차장은 22곳(민영주차장 포함 2948면)에 불과하다. 도심 주요 간선도로와 주택가 이면도로 등에는 불법 주차하는 화물차가 넘쳐난다. 대규모 도시개발로 인구가 유입되고 차량이 늘어나 교통체증도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그런 가운데 최근 인천지역 화물업계에 반가운 소식이 날아들었다. 인천시가 물류비용 절감 개선책이 포함된 ‘인천형 화물발전 종합계획’을 발표한 것이다. 인천시는 “화물운송 인프라를 확충해 원활한 물류 흐름이 유지되도록 해서 운송사업자와 종사자 모두가 영업하고 싶어 하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 계획에는 인천화물자동차운송사업협회가 인천시와 인천항만공사(IPA)에 요구해온 내용이 상당 부분 담겼다.
인천시와 IPA는 인천항 주변에 화물주차장을 추가로 만들고 운전사 휴게소를 짓기로 했다. 송도국제도시 인근 아암물류1단지(면적 5만8235m²), 아암물류2단지(9만5961m²), 인천신항 관리부두(2만4601m²), 인천신항 배후단지(5만 m²), 북항 배후단지 남쪽(4만2958m²)에 화물차 2000여 대를 세울 수 있는 주차장과 휴게공간이 만들어진다. 수도권외곽순환도로 계양 나들목과 제2경인고속도로 남동 나들목 인근에도 화물공영주차장이 생긴다.
인천시는 내년 하반기부터 인천항과 수도권매립지 주변 도로에 화물차 전용차로제를 도입하고 전용 우회도로를 놓는다. 이 도로들은 화물과 폐기물을 실은 대형 트럭이 자주 다녀 정체가 심각하다.
전용차로제와 우회도로를 닦는 대신에 화물차 도심통행제한지역은 확대한다. 현재 인천 도심 23곳이 통행제한지역으로 지정돼 차량별로 오전 7시∼오후 10시에 다니지 못한다. 아파트나 상가 밀집 지역, 다중이용시설 등을 중심으로 통행제한지역을 추가로 지정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대형 화물차 교통사고에 따른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차로이탈 경고 시스템 같은 안전장치 설치에 드는 비용 일부를 지원하기로 했다. 화물차 운행정보 시스템을 운영하고 정부 지원 유가보조금을 투명하게 관리할 계획이다.
심재선 인천화물자동차운송사업협회 이사장(61)은 “인천이라는 도시가 성장한 발판이 된 화물업계의 오랜 숙원이 풀리게 됐다. 700여 회원사를 상대로 난폭운전과 불법주차 등을 근절하도록 교육하겠다”고 말했다.
(dongA.com 2017.11.14.)
2. 인천항만공사, 내년 1월 인천신항 컨테이너부두에 공컨장과 주차장 공급
인천항만공사(IPA)가 내년 1월 인천신항 컨테이너부두에 ‘공’컨테이너장과 주차장을 공급한다.
13일 IPA에 따르면 해수부에서 수립·발표한 인천항 컨테이너 기능조정 및 활성화 방안 정책 이행을 위해 인천신항 I-2단계 컨테이너 부두 중 15만㎡를 임시활용해 사업비 20억3천100만원으로 공컨장(8만9천309㎡) 및 주차장(2만8천321㎡) 등을 올 연말 준공을 목표로 건설중에 있다.
현재 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SNCT)과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HJIT)로 구성된 인천 신항은 20피트 컨테이너 기준으로 연간 210만개를 처리하는 능력을 갖췄다.
그러나 인천신항 배후단지 개발이 늦어지면서 컨테이너터미널에선 적재화물과 공컨테이너가 혼재돼 운영중이며, 주차공간도 부족한 실정이다.
IPA는 인천신항 컨테이너터미널 관계자 등의 이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SNCT) 옆에 ‘공’컨테이너장 및 주차장을 건설중이며, 임대료는 ㎡당 월 800원에 공급할 예정이다.
IPA 관계자는 “인천신항 배후부지 개발이 늦어짐에 따라 올해 1월 ‘공’컨테이너장 및 주차장 조성 사업계획을 수립, 8월 실시설계 거쳐 9월 착공했다”며 “내년 1월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경기일보 2017.11.13.)
3. 제5회 부산국제항만컨퍼런스 개최
11월 16~17일 양일간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컨퍼런스홀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우예종)는 오는 16~17일 양일간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컨퍼런스홀에서 제5회 부산국제항만컨퍼런스(Busan International Port Conference 2017)를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
2013년 최초 개최된 부산국제항만컨퍼런스(BIPC)는 지난 4년 간 매년 세계 약 30여개국에서 600여명이 참석하는 부산항을 대표하는 국제행사로 자리잡았다.
올해는 항만당국,선사,터미널,학계,해운항만분석기관 그리고 OECD를 비롯한 여러 국제기구에서 21명이 연사로 참석하여 해운·항만 업계가 직면한 범 세계적 현안에 대하여 논의하고 부산항과 세계 해운항만업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심도있게 모색할 예정이다.
이번 제5회 행사는 "전환시대의 새로운 모색"이라는 대주제로 ▲항만 간 협력과 물류 효율화 ▲ 신얼라이언스 체제와 항만의 대응 ▲ 신 물류체계, 그 후 1년 ▲ 4차 산업혁명과 물류산업의 혁신 ▲ 신흥국 항만물류 인프라 개발협력 등 총 5개의 세션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세션인 '항만 간 협력과 물류 효율화'는 과거 항만당국의 소극적인 역할의 한계를 넘어서, 최근의 디지털화 및 혁신 트렌드에 발맞추어 항만당국의 적극적인 역할 및 협력에 관하여 논의한다. 동 세션은 함부르크항만공사 사장 및 LA 항만청장, 국제연합무역개발협의회 물류최고담당관을 모시고 진행된다.
두 번째 세션인 '신얼라이언스 체제와 항만의 대응'에서는 올해 4월 얼라이언스체제의 대대적인 재편, 선사간 인수ㆍ합병, 대형선박 투입 가속화 등의 이슈에 대하여 항만과 터미널은 어떠한 대응이 필요한지 선사들의 전략은 무엇인지 논의한다. 3대 얼라이언스 대표선사인 머스크와 CMA-CGM, 글로벌 터미널 운영업체인DPW(두바이포트월드)의 임원이 함께 한다.
세 번째 세션인 '신 물류체계, 그 후 1년'은 지난해 파나마운하와 수에즈 운하의 확장 이후, 세계 해운물류 시장은 어떻게 변화했으며, 앞으로의 전망은 무엇인지, 양 운하청의 리더들과 함께 선사들의 기회와 항만당국의 대비책에 대하여 논의하고 토론을 펼칠 계획이다.
컨퍼런스 2일차인 11월 17일 오전에는 네 번째 세션인 4차 산업혁명과 물류산업의 혁신이라는 주제 아래, 인공지능, IoT, 빅데이터 등이 항만에 불러올 변화를 예측하고, 국가의 물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주요 글로벌 기업들과 공동으로 신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 기업들을 육성하는 네덜란드 Port XL 대표 등이 연사로 참석한다.
마지막 세션인 '신흥국 항만·물류 인프라 개발협력'에서는 태국, 멕시코, 우크라이나 등 신흥국가의 항만개발 계획을 청취하고 그들 항만과 개발협력 파트너십 기회를 확대하고자 한다. 태국과는 지난해 태국 부총리 방문 후 교류협력 세미나등 협력을 강화해오고 있으며, 멕시코 및 우크라이나는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새로운 협력파트너로서 다양한 협력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아울러, 제5회 부산국제항만컨퍼런스(BIPC 2017)를 기념하여 전년에 이어 대학생 대상 논술 공모전을 개최하고, 오는 17일부터 다음날 8일까지 원고를 접수한다.
이번 공모전은 해운·항만 분야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고취하고, 컨퍼런스의 세션별 주제와 관련된 부산항의 발전방향에 대한 새롭고 창의적인 의견을 발굴하고자 마련되었다.
우예종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BIPC는 초청 연사의 수준 및 행사 프로그램의 질 등이 세계 유수 해운항만 컨퍼런스에 견주어도 결코 뒤지지 않는 높은 수준의 컨퍼런스로, 특히 BIPC 2017 행사의 일환으로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인 '국제기구 진출관련 특별강연'은 컨퍼런스 참여를 위해 방한하는 OECD, UNCTAD, IFC등의 국제기구 연사들을 모시고 국제기구 취업을 위한 실질적인 조언 및 경험을 공유하는 귀중한 장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부산일보 2017.11.13.)
4. 팬오션, 금융시장서 인정받았다…성공적으로 사모채 발행
팬오션이 금융시장에서 인정을 받았다. 해운업 디스카운트와 사모라는 장애요소를 딛고 낮은 금리로 회사채 발행에 성공한 것이다.
이번 회사채 발행의 목적은 표면적으로는 시설 및 운영자금 조달을 위한 것이지만, 시장에 과거 회생절차를 밟았던 회사 이미지에 변화를 주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13일 팬오션은 150억원 규모로 금리 3.2%, 2019년 11월 13일 만기 2년물 사모채를 발행했다.
팬오션 관계자는 이번 회사채 발행 목적에 대해 "시설 및 운영자금 조달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팬오션은 지난 2013년 11월 법정관리 후 약 1년 반 만인 2015년 6월 하림그룹에 인수, 7월 말 회생절차를 종결했다.
회생 후 지난해 6월 5000만달러 규모의 사모 회사채를 발행한 바 있지만, 원화 채권 발행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모채인 데다 해운업 디스카운트가 있는 가운데서도 3.2%라는 낮은 금리로 발행할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회사에 대한 시장의 인식이 좋아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팬오션은 올 4월 한국신용평가로부터 신용등급 'A-(안정적)'를 받았다. 이는 국내 해운사로서는 최고 등급이다.
팬오션 관계자는 "이번 회사채는 해운업 디스카운트 없이 신용도로만 발행하며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었다"며 "이번 성공으로 금융시장에서 안 좋은 인식을 바꿀 수 있게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파이낸셜뉴스 2017.11.13.)
5. 中 코스코쉬핑포트, 아부다비에 ‘컨’터미널 개발
‘CSP 아부다비 터미널’ … 첫 해외 투자
코스코의 항만부문인 코스코쉬핑포트(CSP)는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의 칼리파항에서 신규 컨테이너 터미널 ‘CSP 아부다비 터미널’ 개발에 착수했다고 발표했다. 코스코쉬핑포트는 아부다비의 항만공사인 아부다비포트(ADP)와 계약에 서명하고 기공식을 가졌다. CSP의 첫 해외 그린필드(신규 개발) 프로젝트이다.
CSP와 ADP는 지난해 9월, 칼리파항 개발에 대해 합의했다. 공사기간은 약 1년 반으로, 내년 1~3월에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처리능력은 연간 250만TEU다. 신규 터미널 가동에 따른 칼리파항 전체의 처리능력은 600만TEU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CSP와 ADP는 이 항 배후에, UAE 최대의 CFS(컨테이너화물조작장)도 아울러 개발한다. CSP의 모회사 코스코쉬핑의 허입영 사장은 식전에서 "칼리파항은 중동의 중요한 허브로, 일대일로 정책의 초점이 되고 있다. CSP와 ADP의 CFS프로젝트는 터미널서비스를 강화해, 중국·UAE와의 무역에서 협력 관계를 확대한다는 구상이다.항만사업은 코스코쉬핑의 핵심인 동시에 해운 사업과 관련 사업에 이익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 외신팀 >
(코리아쉬핑가제트 2017.11.13.)
6. 컨테이너 계선 소폭 증가···4만TEU↑
157척 59만TEU
프랑스 조사 회사 알파라이너가 정리한 10월30일 시점의 전 세계 컨테이너선의 계선 규모는 157척, 59만4000TEU였다. 2주 전에 비해 약 4만TEU 증가했다. 중국의 국경절 연휴에 따른 감편 대응으로 계선 규모가 확대됐다. 특히 1만2000TEU급 이상의 계선이 증가했다.
전 세계 컨테이너선의 전 선복량에서 차지하는 같은 날 시점의 계선 선복 비율은 TEU 기준으로 3%였다.
계선 척수를 선형별로 보면 500~999TEU급 33척, 1000~1999TEU급 36척, 2000~2999TEU급 17척, 3000~5099TEU급 39척, 5100~7499TEU급 10척, 7500~1만1999TEU급 14척, 1만2000TEU급 이상 8척이었다. 중대형선이 증가했다.
올해 비수기는 예년보다 물동량이 상승세였기 때문에 선박 수요도 안정적이다. 특히 5100TEU급 이하 소형 선형의 거래가 많다. 다만 1만2000TEU급 이상에서 노는 선박이 증가하며 전체 계선 규모를 끌어올렸다.
< 외신팀 >
(코리아쉬핑가제트 2017.11.13.)
7. APL, 아시아역내항로 더욱 강화
APL이 아시아-역내 노선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이를위헤 5개의 아시아-인도 반도 서비스가 강화되어, 빠른 회송과 운항 시간을 제공한다고 APL이 밝혔다.
Asia Subcontinent Express(AS1) 서비스는 2개의 서비스 AS1와 Asia Subcontinent Express 3(AS3)로 개편되고 있다. 이것은 현재 AS1 서비스의 49일 왕복 항해를 42일로 단축시키고, AS3 서비스는 노선을 35일만에 커버할 계획이다.
서비스들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항구의 기항이 개편됐다.
▶Asia Subcontinent Express (AS1): Qingdao - Shanghai - Ningbo - Shekou (CCT) - Singapore - Port Klang - Mundra - Karachi (SAPT) - Port Qasim - Singapore - Qingdao
▶Asia Subcontinent Express 3 (AS3): Shanghai – Ningbo – Xiamen – Singapore - Karachi (KICT) - Shanghai
▶Asia Subcontinent Express 5 (AS5): Shanghai – Ningbo - Shekou (SCT) – Singapore - Karachi (KICT) - Mundra - Port Klang – Singapore - Hong Kong –Singapore
한편, 반도행 중국및 북 아시아의 전용 서비스도 다음과 같이 강화된다.
China India Express (CIX): Shanghai- Xiamen - Hong Kong - Shekou (CCT) - Nansha - Singapore - Colombo - Nhava Sheva - Pipavav - Colombo - Port Klang –Singapore - Hong Kong - Shanghai
North Asia Subcontinent Express (CI3): Xingang - Dalian - Qingdao – Pusan - Kwangyang - Ningbo - Singapore - Tanjong Pelepas - Colombo - Nhava Sheva - Pipavav - Singapore – Xingang
APL은 중국 남부와 필리핀간의 범위를 강화하기 위하여 3개의 새로운 주간 서비스의 개시도 발표했다.
China-Philippines Loop 1(CP1), China-Philippines Loop 2(CP2) & China-Philippines Loop 3(CP3) 서비스는 이틀이라는 최고의 운항 시간을 제공한다.
Shekou발 마닐라행 컨테이너는, CP1 서비스의 마닐라 북쪽과 CP2 서비스의 마닐라 남쪽까지, 2일간의 운항 시간만이 소요될 예정이다.
같은 주에 다른 선적 마감시간을 제공하는, CP3 서비스는 Yantian에서 마닐라 남쪽과 북쪽까지 각각 4일이라는 경쟁력있는 운항 시간을 제공한다. 기항지는 Yantian, Nansha, Shekou, Hong Kong, Manila (South) 그리고 Manila (North)의 순서로 기항한다.
(쉬핑데일리 2017.11.13.)
8. ICS, 2100년까지 “CO2 배출량 제로” 목표
전세계 해양 선단의 80%를 대표하는 국제해운회의소(International Chamber of Shipping: ICS)는 원양 선박의 탄소 배출량을 제거하겠다는 목표를 21세기(2100년)말까지 달성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ICS는 금세기 하반기에는 원양 해운의 CO2 배출량을 제로로 한다는 비전을 갖고 있다”고 Bonn에서 개최된 UN 기후 변화 회의의 성명서를 통해 밝혔다.
그는 “우리는 대체 연료와 새로운 기술 개발로 이같은 목표가 성취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고, American Shipper가 보도 했다.
계속해서, 이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해운 업계는 야심찬 CO2 감축 전략을 개발할 뿐만 아니라, 재생 가능한 에너지-기반의 동력 기술을 수용하고자 하는 IMO의 정책들을 계속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쉬핑데일리 2017.11.13.)
9. TT Club Points to Cyber Defence Advice After Not Petya
Freight transport insurer TT Club has shared advice on 'Not Petya' from an executive within another Thomas Miller division after identifying cyber security threats in the container shipping industry.
Alexis Cahalan, a Principal Lawyer at Thomas Miller Law in Sydney, stated that the attack presented shipping with “a reality which needs to be addressed by all participants” at the Trans- Pacific Asia Conference in China last month.
She pointed out that vulnerable operations could be characterized by factors such as widespread office networks, a reliance on multiple third party suppliers and in-house, legacy IT systems.
Cahalan also found that global logistics communities lacked open communication and were not reporting damaging cyber experiences.
In an announcement, TT Club said that freight transport operators take risks through a lack of smartphone ‘bring your own device’ (BYOD) procedures and rapidly changing supply chain technologies such as IoT (Internet of Things).
A solution suggested by Cahalan at the conference was to employ “a corporate culture of risk management” to assess cyber attack vulnerabilities within individual companies and to develop a response framework.
Cahalan said: “Employee awareness of the potential dangers of day-to-day activities will help with cyber defences.
“Trust in email communication, auto-connect Wi-Fi settings and password protocols, peripheral equipment and flash drives, computers in general, should all be monitored and reviewed.
“Staff and contractors should be brought to understand that the critical balance between ease of operation and security may bring inconvenience.
“A corporate culture that articulates, enforces and educates cyber defence will achieve much in terms of mitigating risk.”
(Port technology 2017.11.13.)
10. US Port Cybersecurity Bill Advances
US legislators have progressed an act requiring the federal government to assess maritime sector cybersecurity risks following this summer’s “Petya” hacks interrupting LA port operations.
This measure will establish a process for identifying and addressing cybersecurity risks to better defend both California and national economic interests from crippling cyberattacks.
Two senators, Senate Homeland Security and Governmental Affairs Committee member Kamala Harris and Dan Sullivan introduced the bill on November 7, 2017.
They advanced for the Senate review a revived bill from 2015, called the “Strengthening Cybersecurity Information Sharing and Coordination in Our Ports Act,”after it passed in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on October 24, 2017.
This rule would incorporate cybersecurity policy into the missions of the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and the Coast Guard.
It would require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DHS) to establish a model for assessing cybersecurity risk in the maritime sector.
Guidelines for information sharing would be created for use by the DHS body National Cybersecurity and Communications Integration Center (NCCIC), which shares information on cybersecurity for national infrastructure around the clock.
Port of Los Angeles Executive Director Gene Seroka said: “The recent cyber-attack on a major shipping line doing business at the Port of Los Angeles was a call to action.
“With the increased digitization of our industry, cybersecurity is a top priority. This legislation is a major step toward addressing cyber security vulnerabilities in the maritime industry.”
Senator Harris said: “California’s ports are America's gateway to international commerce.
“The Golden State is home to the two busiest ports in the country in Los Angeles and Long Beach, and a cybersecurity incident there or anywhere else would pose a great risk to our nation’s economy. The federal government must work with private sector to protect them.”
Senator Sullivan said: “The successful operation of our nation’s port facilities is vital to our economic stability and potential for growth.
“As our ports increasingly rely on technology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goods, they increase their exposure to cyber threats and attacks.
“Given Alaska’s dependence on maritime shipping, communities across our state stand to be the most effected from potential disruptions at any port in our supply chain.
“Protecting our maritime cyber infrastructure is vital. This legislation introduced today will help do just that.”
(Port technology 2017.11.13.)
첨부파일
- DAILY NEWS-20171114.docx (45.7K) 6회 다운로드 | DATE : 2017-11-24 16:4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