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NEWS_ 2017.2.27 (월)
본문
DAILY NEWS_ 2017.2.27 (월)
1. 인천 남항 크루즈부두 임시 개장… 첫 손님맞이
‘퀀텀오브더시스’ 입항
인천 남항에 건설 중인 신(新)국제여객터미널 크루즈부두가 25일 임시 개장했다.
이날 로열캐리비언크루즈 소속 16만8000t급 ‘퀀텀오브더시스’ 크루즈선이 승객 4600명과 승무원 1300명을 태우고 크루즈부두에 처음 입항했다. 18층 건물 높이의 초대형 크루즈선은 객실 2000여 실을 비롯해 카지노, 쇼핑센터, 뮤직홀, 극장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인천항만공사와 인천관광공사는 퀀텀오브더시스 승객들을 위해 크루즈부두 첫 입항을 축하하는 퓨전국악, 댄스공연을 펼쳤다. 크루즈부두로 입국한 승객들은 서울과 인천에서 한나절 관광을 즐긴 뒤 이날 저녁 중국 상하이(上海)로 떠났다.
인천항을 찾는 대형 크루즈선은 조수간만 차가 심한 인천내항을 이용할 수 없어 그간 목재와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북항과 인천신항 화물선 부두를 통해 입·출항해왔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신국제여객터미널이 2019년 말 완공되지만, 이날 크루즈부두부터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올해 인천항에 들어오는 크루즈선은 50척 정도를 예상하고 있다.
(dongA.com 2017.02.27.)
2. 인천, 수입화물 처리시간 가장 빠르다
주요 타 시설 1.02일 5.03일 비해
인천 공항·항 0.84일 2.51일 '최단'
전국평균 1.69일 1년새 18% 짧아져
지난해 수입화물 처리에 걸린 시간이 전년 대비 18%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공항·항만 가운데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의 수입화물 처리 시간이 가장 짧았다.
26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수입화물 처리(입항→하역→보세운송 및 보세구역 반입→수입신고 및 수리)에 걸린 시간은 평균 1.69일로, 전년보다 18%(0.36일, 8시간 38분) 줄었다. 이는 수입화물 처리 시간을 측정한 이래 가장 짧은 처리 시간을 기록한 것으로, 지난 10년간 1.85일(44시간 24분) 단축된 수치다.
지난해 항공 수입화물을 처리하는 데는 1.02일 걸렸고, 해상 수입화물 처리 시간은 5.03일이었다. 전년과 비교해 항공은 0.16일(3시간 50분), 해상은 0.25일(6시간) 각각 단축됐다. 항공화물이 해상화물보다 처리 시간이 짧은 이유는 신속통관에 적합한 자가사용 소량 화물과 간이 통관절차가 적용되는 특송화물이 많기 때문이다.
주요 공항 중에서는 인천공항의 수입화물 처리 시간이 0.84일(20시간 10분)로 가장 짧았다. 수입화물 처리 시간이 가장 짧은 항만은 인천항으로, 2.51일 소요됐다. ┃표 참조
지난해 7월 문을 연 인천공항 특송물류센터가 공항에 인접해 있고, 자동화 시스템에 의한 처리가 가능해 인천공항의 처리 시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양항은 사료·목재펄프 등 수입 요건을 확인해야 하는 화물과 장기 보관이 필요한 화물이 많기 때문에, 평택항은 판매 후에 비로소 통관하는 수입차량과 부피가 큰 건축자재 통관이 많아서 처리 시간이 긴 것으로 분석됐다.
수입화물의 성질별 처리 시간은 소비재 1.19일, 자본재 2.21일, 원자재 3.48일로 나타났다.
(경인일보 2017.02.27.)
3. 교통체계 편하게 '신항배후단지' 넓힌다(인천항)
계획보다 면적확대 변경 고시
인천신항 컨테이너선 부두와 교통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2020년까지 항만배후단지 면적이 종전 계획보다 약 2만6000㎡ 넓어진 214만4000㎡로 확대된다.
해양수산부는 26일 '인천항 항만배후단지 개발계획' 27일 변경·고시한다고 밝혔다.
인천신항 항만배후단지 기본 및 실시설계내용과 교통영향평가 결과가 반영된 변경안이다.
교통영향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도로선형 조정 ▲가감속차로·버스베이(버스가 정차하기 쉽도록 보도 쪽으로 들어간 공간)·주차장 신설 등 배후단지 교통체계를 개선 내용을 담았다.
부지이용계획 변경에 따른 구역계 및 활동인구 조정에 따라 상·하수처리와 전력·에너지 공급계획도 변경했다.
2013년 12월 변경 고시된 제2차 항만배후단지개발 종합계획에 따르면 총사업비 3879억여원을 들여 송도 10공구 항만배후부지가 2020년까지 211만8000㎡ 부지에 조성될 예정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이번 개발계획 변경에 따라 항만배후단지의 활용가능성이 높아져 앞으로 환황해권 중심 항만으로 발돋움할 인천신항의 물류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천일보 2017.02.27.)
4. 부산항 환적물량 인센티브, 과거 실적 대비 초과분만 인정
BPA, 제도개편 방향 발표
올해 부산항의 환적물량 인센티브는 전체 환적물량에 대한 선사의 비율을 산정해 지급하던 방식을 없애고 과거 실적 대비 초과분에 대해서만 제공된다.
부산항만공사(BPA)는 26일 부산항 환적물량 증대에 포커스를 맞춘 인센티브 제공을 골자로 한 인센티브 개편방향을 확정, 발표했다.
올해 부산항을 둘러싼 물류환경의 불확실성은 역대 최고이다. 한진해운 사태, 글로벌 해운동맹 재편, 초대형선 기항 확대, 중국항만의 환적물량 유치 본격화에 따라 BPA는 부산항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위기 극복을 위해 인센티브 제도 개편이 불가피하다고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우선 환적물량 증대에 포커스를 맞춘 인센티브 제도 개편이 눈에 띈다. 전체 환적물량에 대한 선사들의 비율에 따라 지급되던 과거 방식은 물량 증대보다는 유지에 안주하려는 경향이 커 과감하게 이를 없애고 과거 실적 초과분에 대해서만 인센티브를 제공키로 했다.
선대교체 인센티브 지원도 강화된다. 해운동맹 재편과 초대형선 투입 확대에 따른 중소형 선박의 전환배치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가령 상하이항 기항 선박이 상하이항 기항 대신 부산항에 양하할 경우 항만시설 사용료 감면과 함께 인센티브를 지원할 방침이다.
BPA는 베트남 등 전략 항만의 기항 노선에 대해서도 혜택을 준다. 베트남, 이란, 동북2성, 파나마 등 전략지역의 잠재적 환적물량 유치를 위해 이들 항만에 기항하는 노선 화물이 부산항에 환적할 경우에도 특별히 인센티브를 줄 계획이다.
올해 중국 청도항의 경우 선대교체 시 항만료를 인하해주고, 셔먼항은 아예 하역료를 이례적으로 면제해주기로 결정해 이에 대한 대응책이라고 BPA는 설명했다.
BPA 관계자는 "이번 환적화물 인센티브 제도 개편안을 항만위원회에 상정해 통과되면 내달 초에 인센티브 금액을 일부 조정해 최종 확정안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항의 1월 컨테이너 전체 물동량은 6m짜리 기준으로 161만2000개로 지난해보다 1.0% 늘었다. 수출입화물은 3.4% 늘었지만 환적화물은 2.2%로 줄었다. 환적화물은 한진해운 법정관리 가능성이 대두한 지난해 8월부터 6개월 연속으로 감소했다.
(국제신문 2017.02.26.)
5. 한국, 세계 최초 '3차원 고속 컨테이너 검색기' 개발 성공
3월 시험 운영…기술자립화로 약 3300억원 수입대체 효과
검사기간 대폭 단축·화주편익 및 항만 운영 효율성 제고 기대
해양수산부는 세계 최초로 '3차원 고속 컨테이너 검색기'를 개발, 전남 광양시 컨테이너 장치장에서 시험시설 준공식을 열었다고 27일 밝혔다.
컨테이너 검색기는 컨테이너를 개봉하지 않고도 내부 화물을 확인할 수 있게 해 통관 보안 검사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최근 세계적인 테러 위험 등으로 화물 검색이 강화되면서 관련 분야 시장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외국산 검색기 14대를 보유, 수입물품 검사 등에만 일부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내년부터는 미국의 규제 강화에 따라 미국으로 향하는 화물에 한해서는 100% 사전검색을 실시해야 한다. 앞서 미국은 2018년부터 수입 컨테이너 화물에 대해 전수검사를 의무화하는 법령을 발표했다.
이에 정부는 관련 분야 기술 자립을 위해 2008년부터 약 253억원의 예산을 투입,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와 함께 한국형 장비 개발을 추진해 왔다. 그 결과 세계 최초로 3차원 고속 컨테이너 검색기 개발에 성공, 오는 3월부터 시험하기에 이르렀다.
'3차원 고속 컨테이너 검색기'는 세계 최초로 3차원 검색기술을 구현함으로써, 처리속도를 대폭 향상시켰다.
3차원 검색 기능으로 컨테이너를 입체적으로 투시, 내부에 있는 모든 화물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돼 기존 기계보다 5배 이상 빠른 처리속도를 자랑한다.
기존에 사용하던 2차원 검색기는 평면적인 투시만 가능했기 때문에 겹쳐진 화물을 빠짐없이 살피기 위해서는 수평 방향 검색과 수직 방향 검색을 함께 실시해야 했다.
그렇다보니 기존 컨테이너 검색기가 1대의 컨테이너 검사 시 판독을 제외한 순수 X-선 검색에만 5분, 전 과정을 거치는 데 10분 가량 걸렸다. 그런데 3차원 검색기는 순환구조의 전자동 시스템을 도입, 1대당 약 1분 내에 모든 검색 과정을 완료할 수 있게 했다.
컨테이너 검색기 시장 수출경쟁력 확보 및 3300억원 가량의 수입대체 효과도 기대된다.
우리나라에서 미국으로 직접 수출하는 화물은 2015년 기준으로 연간 약 147만TEU(환적화물 포함)에 이르는데, 이를 적시에 처리하기 위해서는 33대의 검색기를 추가로 구입해야 한다. 33대 검색기 초기 구입비용이 총 3300억원 수준으로, 새로 개발된 국산 기계를 사용할 경우 이 금액 상당의 수입대체 효과를 볼 수 있다.
아울러 검색에 걸리는 시간·비용이 대폭 줄고, 화주편익 및 항만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번에 새로 개발한 3차원 검색기를 사용할 경우 검사에 연간 약 1만 시간(444일)이 소요돼 개장검사 및 기존 2차원 기계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검사시간이 각각 99.6%, 90% 단축된다.
이에 따라 인건비 등 물류비용도 크게 절감, 시간당 6470원 기준 개장검사 대비 연간 인건비는 1650억원, 기존 검색기 대비 인건비는 5억8000만원 감소한다.
그 외에도 항만에서의 화물처리속도 향상에 따른 항만운영의 효율성 제고와 화주편익 증대, 부산항 등 우리의 주요항만을 환적항으로 이용하는 외국 화물선의 입항 증가 등도 기대해볼 수 있다.
정부는 이번 '3차원 컨테이너 검색기'를 앞으로 7개월 이상의 성능 검증 및 안정화 시험을 거쳐 성능 확인이 완료되면 본격적으로 현장에 보급하는 한편, 수출 시장 개척에도 나설 계획이다.
이를 위해 광양항만 컨테이너장치장 내에 길이 103.2m, 폭 50m, 높이 9.3m의 규모의 시험시설을 설치, 이날 준공식을 거쳐 3월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엄기두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장은 "3차원 검색기를 최초 개발해 우리 항만에 도입함으로써 앞으로 항만의 물류경쟁력 강화, 화주 편익 증대 등이 기대된다"며 "국제적인 통관검색 강화 추세에 힘입어 관련 시장이 지속 성장할 것으로 보임에 따라 세계 최초 3차원 고속 컨테이너 검색기를 우리의 주력 수출품목 중 하나로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NEWSPIM 2017.02.27.)
6. 일본 국적외항선 201척···6년새 두배 증가
日 해운당국 발표
일본 국적 외항선대가 2015년 말 기준으로 201척을 기록, 2009년에 비해 124척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항 일본인 선원은 74명 늘어난 1146명으로 집계됐다.
일본 국토교통부해사국은 최근 도쿄에서 열린 교통정책심의회 해사분과회의에서 톤세제 도입에 따른 일본 선원·선박 확보계획을 발표했다. 선원·선박 확보계획은 톤세제 도입을 배경으로 일본 등록 선박을 9년간 3.2배 늘리고, 일본 선박 1척당 4명의 일본인 선원을 승선토록 하는 해운력 강화 정책이다.
2009년 시작돼 2013년에 1차계획이 끝났으며 2014년부터 2017년까지 2차계획이 진행 중이다.
일본 해운당국은 1차 기간 마지막 해였던 2013년에 대상을 일본 국적선뿐 아니라 일본 선적(船籍)으로 바꿀 수 있는 준 국적선박도 대상에 포함했다.
지난해 3월 기준으로 계획에 참여한 기업은 케이라인 MOL NYK를 비롯해 아사히해운 이이노해운 NS유나이티드해운 JX오션 다이치추오기센 등 8곳이다.
당국은 계획이 끝나는 올해 말까지 일본 국적 외항선대를 248척으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 외신팀 >
(코리아쉬핑가제트 2017.02.24.)
7. 정기선사들, "올해 전환의 해"로 전망
대형 정기선사들의 경영진들 사이에서 2016년 4분기에 중국의 8개 주요 컨테이너 항구의 컨테이너 처리량이 4% 정도 증가했음을 보여주는 데이터를 언급하며, 컨테이너 해운 부문에 새로운 낙관론이 부각되고 있다고 한다.
급격하게 상승한 현물 운임이 아시아-유럽간 계약 가격을 상승시켰으며, 동-서 노선의 중국발 선박들의 경우 95% 이상이 찼다고 IHS Media가 보도했다.
2016년도 4분기와 금년 초에 컨테이너 선사들은 선복량 관리에 심혈을 기울였으며, 그결과 Market Data Hub가 추적하는 운임을 인상시켰고, 2017년도 정기선 업계에 대하여 긍정적인 전망을 하도록 했다.
MSC의 CEO인 Diego Aponte는 현재 컨테이너 해운 업계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으며, 2016년 한해 동안에 펼쳐진 유례없는 통합과 한진해운의 붕괴로 정기선사들이 보다 합리적인 행동을 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Aponte는 현재 컨테이너 해운 부문에 심각한 공급 과잉의 문제가 있지만, 정기선사들은 그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Maersk Line의 CEO인 Soren Skou는 정기선 업계가 현재 전환기에 있다고 밝혔으며, 회사는 2016년도에 3억 7,600만달러의 손실을 보았지만 금년도에는 10억달러 정도의 이익을 낼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정기선사의 몇몇 임원들은 2017년이 컨테이너 해운 업계에는 전환의 해가 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드러냈다.
Skou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선박 해체와 계선을 통하여 선복량이 감소하였으며, 어느정도 수급 균형이 개선되었다고 밝혔다.
정기선 업계가 마침내 회복중이라는 새롭게 발견된 믿음은 해사문제 분석기관인 SeaIntel의 CEO이자 파트너인 Alan Murphy에 의해서도 제기되었다.
Alan Murphy는 “그동안 해운 회사들과 지속적으로 접촉하면서, 지난 8년 동안에 겪었던 고질적인 공급 과잉속에서 전혀 발견할 수 없었던 낙관론을 발견하기 시작한다”고 밝혔다.
계속해서, Alan Murphy는 “이같은 낙관론이 계획된 새로운 주요 네트워크의 출시와 재설계된 서비스로부터 야기된 경솔함에 근거하고 있는지, 아니면 우리가 진정으로 보다 안정적인 시장으로의 복귀 시점을 목격하고 있는지는 말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그러나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는 최근의 보고서를 통해서 “운임이 어느정도 수익성이 있는 수준으로 돌아오고는 있지만, 정기선 업계에 여전히 유휴 선복량이 있어서 2017년도에 추가적인 가격 상승을 제한하게 될 것이다”고 밝혔다.
이와는 별도로 알파라이너는 침울하게 전망하면서, 상당한 규모의 수익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선복량이 더욱 축소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추가하여, 알파라이너는, 2016년 4분기에는 공급 성장이 2.2%를 기록한 반면에 수요가 0.6%로 하락하면서, 작년 10월에는 계선 선단의 규모가 최고 수준인 159만TEU에 도달했음을 지적했다.
(쉬핑데일리 2017.02.27.)
8. 2M-현대상선, 4월 新태평양서비스 시작
MSC 및 Maersk로 구성된 2M 얼라이언스와는 별도로, 현대상선은 2M과 4월 2일부터 타일랜드 동부에 위치한 Laem Chabang을 시작으로 Thailand, Vietnam, South China, Taiwan 및 한국을 Los Angeles와 Oakland로 연결시키는 태평양 횡단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한다.
Maersk는 새로운 태평양 횡단 서비스의 브랜드를 TP7, MSC는 Lotus 그리고 현대상선은 PS2로 명명했다.
이번에 신설된 새로운 태평양 횡단 서비스는 현대상선 소속 6,800TEU급 컨테이너 선박 7척으로 운영될 예정이며, Maersk와 MSC가 슬롯을 임대하게 된다.
기항 항구는 Laem Chabang, Cai Mep, Hong Kong, Shenzhen-Yantian, Kaohsiung, Busan, Los Angeles, Oakland, Busan, Kaohsiung, Hong Kong, 그리고 다시 Laem Chabang의 순서로 기항한다고 한다.
(쉬핑데일리 2017.02.27.)
9. Tanker Operator Receives $2 Million Penalty
Greece-based tanker operator Aegean Shipping Management, S.A., will pay a penalty of US$2 million after pleading guilty to violating the US Act to Prevent Pollution from Ships (APPS) and obstruction of justice related to the illegal discharges of oily bilge waste from the chemical tanker T/V Green Sky in 2015.
Aegean will also be sentenced to probation and an environmental compliance plan and agreed to a community service component directed toward the Gray’s Reef National Marine Sanctuary at a federal court in Charleston, South Carolina.
It pleaded guilty in November 2016 to one APPS count for the illegal discharges and one obstruction count based on misrepresentations made by the vessel’s captain to the US Coast Guard during the August 2015 boarding.
The plea materials were previously sealed to protect the integrity of the jury and the witnesses in the trial against the individual defendants.
The vessel’s operator had been indicted, along with the vessel’s owner, Aegeansun Gamma of the Republic of the Marshall Islands, and the tanker’s three engineers, on July 15, 2016.
The Green Sky’s captain, Genaro Anciano, also pleaded guilty to charges brought up against him.
The United States Coast Guard (USCG) may board US ships and foreign vessels in US waters in ports or at offshore terminals to verify whether the ship complies with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Pollution from Ships (MARPOL).
Two Greek Shipping companies were also made to pay a total of US$2.7 million in corporate penalties after they were found guilty of illegal waste disposal at the start of 2017.
(Port technology 2017.02.24.)
10. ICS Chairman sets IMO CO2 Challenge
The Chairman of the International Chamber of Shipping, Esben Poulsson, has set out what the industry would like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to achieve as part of its CO2 reduction strategy for the shipping sector.
Speaking in Indonesia today at The Economist magazine’s World Ocean Summit, Poulsson feared that unless IMO makes significant progress the industry could be vulnerable to regional action, not only from the EU – which is considering incorporating shipping into the EU Emissions Trading System – but also from Canada or California, which have already introduced carbon pricing.
Poulsson said: “We are confident IMO can adopt an ambitious strategy by 2018 matching the spirit of the Paris Agreement. However, IMO needs to agree a baseline year for peak CO2 emissions from shipping, as well as setting out some serious long term aspirations for dramatically cutting the sector’s total CO2 by the middle of the century."
ICS stressed that IMO should adopt objectives for the entire sector, not for individual ships, in the same way that governments have already agreed CO2 commitments for their national economies under the Paris Agreement. IMO also needs to agree a mechanism for delivery which ICS would like to see in place by 2023. If IMO decides to develop a Market Based Measure, ICS says that the clear preference of the industry is for a bunker fuel levy.
Poulsson said that any IMO goals that are sufficiently ambitious to allow shipping to play its part in achieving the United Nations ‘2 degree’ climate change target should also be realistic.
He added: “Ambitious CO2 reduction objectives will only be achievable with alternative marine fuels which do not yet exist, although we are very confident that they will be available in the not too distant future."
Widespread availability of alternative fuels, such as hydrogen or fuel cells, is not expected for at least another 20 or 30 years.
ICS says the sector’s total CO2 has already been reduced by more than 10% between 2007 and 2012. But projections for trade growth – over which the industry has no control, due to population growth and improved global living standards – suggest that dramatic reductions in the sector’s total CO2 will be difficult to achieve in the immediate future until alternative marine fuels become widely available.
ICS argues that any CO2 reduction goals agreed by IMO must also address the legitimate and valid concerns of developing nations about the potential impacts on trad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United Nations, 60% of maritime trade now serves developing nations.
In December 2016, the ICS Director of Policy and External Relations for the International Chamber of Shipping criticised the European Union for incorporating international shipping into its regional Emissions Trading System (ETS) and sided with “disappointed and very concerned” Non-EU nations who were told that the IMO had a comprehensive road map for action.
(Port technology 2017.02.24.)